지하철과 상권-.

지역개발단계에서 이 둘의 관계는 일종의 공생공존의 관계에 있다.
지하철이 들어서는 지역은 어김없이 상권이 형성되고 그 영향으로 지하철
이용객도 자연히 늘어나는 것이다.

지하철이 상권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는 일화가 있다.
지난50년대초 일본의 미쓰코시백화점은 동경도가 추진하던 지하철 긴자선
의 한 역에 자신의 백화점이름을 따내기위해 역사공사비 전액을 내놓았다.

요즘 시가로 무려2백억원에 달하는 금액이었다.

과감한 투자덕택으로 긴자거리의 중심부에 위치한 이 역은 오늘날
미쓰코시전역으로 불리고 미쓰코시백화점은 일본최대 백화점으로서의
위치를 굳건히 하고 있는 셈이다.

공사가 한창인 제2기지하철(5-8호선)이 내년 하반기 5호선과 7호선
강북구간의 개통을 시작으로 오는97께는 완전 개통될 예정이다. 96년
완전개방을 앞두고 있는 국내 유통업계는 대기업들의 참여로 경쟁이
점차 치열해 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2기지하철의 개통이 앞으로 1도심 5개부도심등 서울지역의
중심상권에 지각변동을 일으키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고하고 있다.

그 영향은"남(영등포 강남 잠실상권)강,북(도심 신촌 청량리)약"의
양상을 띨 것이라는 게 전반적인 시각이다.

지하철개통이후 이들 상권의 판도변화를 교통망과 유동인구 상권의
전문화 정도등을 토대로 점검해본다.

>>>> 도심상권 <<<<

명동 남대문 종로 을지로 동대문으로 이어지는 지역으로 서울상권의 핵
이다. 여기에는 롯데 신세계 미도파 프랭땅등 대형백화점과 남대문재래시장
등이 각각 기능분화를 이루면서 상권을 주도해왔다.

지하철개통은 그동안 교통시간 거리등으로 도심상권을 이용하지 않던
지구및 지역상권 이용자들을 새로운 고객으로 흡수할 여지도 적지않다.

그러나 도심상권의 비중은 5개부심상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될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분석은 밀집도가 한계에 달한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된다. 교통
주차난과 도시기능의 분산화추세로 인해 도심상권은 현재 포화상태이다.

또 지역및부심상권의 발달은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고객의 도심진입을
어렵게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도심상권의 발전여부는 고객을 끊임없이
유치할 수 있는 전문성을 키워나가느냐에 달려있다.

서울지역 전체에서 차지하는 도심상권의 비중은 지난86년 39.6%를 정점
으로 95년에 33.8%, 오는2001년께는 34%선에 머물 전망이다.

>>>> 잠실상권 <<<<

강남상권과 더불어 지난10여년동안 성장세가 가장 두드러졌던 상권중의
하나이다.

지하철망은 현재 2호선만 통과하고 있으나 앞으로 5호선과 8호선이
연결돼 교통망이 대폭 확충될 예정이다.

잠실 송파 천호동등 대규모 주거단지를 끼고 있는데다 지하철망의 확충
으로 성남 분당 고덕 수서지구까지 영향권으로 흡수돼, 5개부도심상권
가운데 영향권의 범위가 가장 넓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대변수는 롯데그룹이 추진중인 제2롯데월드의 탄생이다. 롯데월드
맞은편에 세워질 예정인 대규모의 드림랜드구상이 실현된 경우(현재로선
실현가능성이 높다)2000년대초에 잠실상권은 주간 유동인구가 2백만명이
넘는 엄청난 상권으로 부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잠실지역의 이같은 영향력은 성내 천호 고덕 둔촌동일대의
지역상권과 이 지역 역세권개발을 상대적으로 저해하는 역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영등포상권 <<<<

5개부도심상권중 성장가능성이 가장 높은 상권이다.

영등포역을 중심으로 백화점과 재래시장이 혼재돼 있고 유동인구도 많은
편이다. 최대장점은 영등포 구로 강서구일대에 영등포상권에 견줄만한
상권이 없다는 점이다.

특히 5호선개통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화곡 신정 방화 신월동지역의
흡수가 확실한데다 7호선개통은 인접신도시인 광명 철산 부천지역까지
상권으로 흡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영등포지역에 산재해있는 비도시형공장들이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이
일대는 새로운 주거공간과 상권조성을 보장해주고 있다.

영등포 신세계백화점 뒷편에 있는 2만여평의 경성방직부지와 신도림동
5만여평의 대한 중기부지등의 개발은 영등포상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영등포상권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목동도 현재 개발이 진행중인 중심축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구상권으로 부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 강남상권 <<<<

반포 압구정동 강남터미널 삼성동 도곡동을 중심으로 주거환경이 양호한
지역이다.

지하철망은 기존 2,3,4호선외에 7호선 분당선 과천선의 연결로 상권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도심과 맞먹는 대형백화점과 고급전문점이
상권을 주도하고 있고 소매점의 밀집도가 부심권중 가장 높다.

영동 호남선터미널에 연면적5만평규모의 종합복합터미널이 탄생되면 상권
규모가 대폭 커지게 된다. 또 강남역부근과 개포지역에도 대형백화점의
진출이 예상되고 있다.

분당과 과천 평촌 산본신도시들이 강남상권의 영향권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강남상권의 특징은 앞으로도 상류층고객을 겨냥, 전문성을 띤
소형전문점과 백화점이 상권을 주도하는 한편 역세권개발도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 신촌상권 <<<<

5개부심상권중 현재의 규모나 향후발전가능성도 가장 낙후한 지역이다.

현재는 지하철2호선만 통과하고 있으나 앞으로 6호선과 5호선이 연결됨에
따라 역촌 응암동 수색일대의 새 고객층 흡수가 주목된다.

5호선의 마포로 공덕동일대에 역세권개발을 통한 신상권이 형성될 전망
이며 장기적으로 약1백만평에 이르는 상암동지역의 개발여부가 신촌상권의
발전가능성을 가름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서울지역 전체상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90년 6.8%에서 95년 6.7%,
오는2002년에는 6.6%로 답보상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이 지역에 대규모 주택단지가 없는데다 인구수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산신도시는 신촌상권과 거리상으로는 가까우나 지하철
연계등 교통편이 좋지않아 신촌상권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청량리상권 <<<<

청량리를 중심으로 제기 회기 상봉 미아 수유리일대가 영향권으로
대형백화점과 재래시장 전문시장이 혼합된 지역이다.

교통망은 도심과 인접해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수유 상계 신내 면목동등
주변의 인구밀집지역을 흡수하기에는 지하철노선이 불편한게 흠이다.

6호선은 바로 도심과, 7호선은 구의 잠실권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청량리상권에서 벗어나 있는 셈이다.

청량리역 주변이 대형쇼핑센터 중심지로 자리잡고 경동시장을 중심으로
재래시장기능이 현상유지를 할 것으로 보이나 발전성은 약한 편이다.

상권비중은 지난90년 7.5%를 정점으로 95년에 7%, 2001년께는 사소
줄어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