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승용차 '당분간 잠행'..기술도입신고서 제출보류 배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그룹이 승용차시장 신규참여를 위한 기술도입신고서 제출을 상당기간
보류키로 했다.
이는 삼성이 늦어도 오는 6월중 상공자원부에 기술도입신고서를 제출하고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승용차생산 준비에 착수하려던 계획을 일단 수정한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삼성그룹은 최근 이같은 방침을 확정하고 상공자원부등 정부측에 이러한
내용을 비공식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17일 "승용차 기술도입신고서 제출을 당분간 보류키로
결정했다"며 "그러나 보류기간이 얼마나 될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적어도 1년 정도의 여유를 갖고 국내외
상황변화에 대처하겠다는 것이 삼성의 기본 인식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의 이같은 방침이 전달됨에 따라 상공자원부도 삼성의 기술도입신고서
제출이전이라도 "불허방침"을 밝히려던 당초 입장을 바꿔 이문제로 인한
논란이 더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삼성은 6월중 기술도입신고를 마치고 7월부터 공장착공과 함께
본격적인 승용차생산준비에 들어간다는 당초 계획에서 후퇴, 당분간
수면하에서 상황변화를 지켜보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의 이같은 방침선회는 지금으로서는 신고서 제출강행이 스스로
"무리수"를 두는 것이며 정부에 대해서도 상당한 부담을 줄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이러한 보류방침의 결정도 정부와의
상호교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삼성은 보류기간동안 세계자동차시장의 움직임과 정부의 입장변화를
신중히 지켜본뒤 "적절한 시기"를 골라 승용차시장 진출을 재시도 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이 이처럼 기술도입신고를 통한 승용차시장 신규진출을 당분간
보류키로 한 가장 큰이유는 이문제가 단순히 밀어붙여서 될일이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정부가 현시점에서 삼성의 승용차시장 신규진출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직간접적으로 전달해오면서 이러한 분위기아래서는 기술도입
신고서 제출을 강행한다해도 정부의 기본원칙이 빠뀔 가능성이 전혀 없어
오히려 일을 그르칠 우려가 크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상공자원부등 정부측은 그동안 삼성측이 사전협의및 통보과정을
거치지도 않고 기술도입계약을 서둘러 발표하는등 일방적인 행동을 편데
대해 당혹감과 함께 불만을 표시해왔다.
또 이문제가 정부측으로서도 손쉽게 다루기가 매우 어려운 민감한 사안인
만큼 당분간 이문제를 거론하지 말것을 직간접적으로 권유해왔다. 이에대해
삼성측도 일방적인 행동으로 오히려 분위기가 꼬이고 있음을 자인, 앞으로는
승용차를 둘러싼 모든 문제에 대해 정부와 충분한 논의를 거치는 것은 물론
한동안 이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는 내부 방침을 세운 것이다.
삼성측은 상황이 이처럼 어렵게 돌아가게 된 것이 지난달 산업연구원
(KIET)의 자동차시장 신규참여에 대한 연구보고서가 삼성에 불리하게
나오자 승용차생산공장 7월 착공계획과 함께 닛산과의 기술도입계약을
서둘러 발표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느닷없는 사업계획및 닛산과의 기술도입계약발표가 정부의 운신폭을 좁게
만들면서 모든 부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는 판단이다.
삼성은 당초 닛산과의 계약발표에 앞서 전기자동차 개발발표등을 통한
기술력과시와 함께 정부가 추진중인 업종전문화및 경제력집중완화정책에
부응하는 그룹의 구조개편 노력을 대외에 공표하는등 치밀한 사전 정지작업
을 펼 계획이었다.
계약발표 직후 거론된 일부 계열사및 업종정리문제등도 이같은 정지작업
차원의 대안 마련을 위해 검토된 사안들이다. 특히 그룹 구조개편은 자동차
사업에 막대한 투자가 들어가는 만큼 비주력업종에 대한 투자가 불가능하다
는 차원에서도 거론되고 있다.
또 구조개편이 정부정책을 옹호하면서 정부에 승용차사업 허용의 명분을
줄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따라서 삼성은 앞으로 기술도입신고의 "적절한 시기"를 잡는데 앞서
그동안 소홀했던 정지작업을 편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그룹내부에서도 "적절한 시기"가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뚜렷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여론이나 정부의 분위기가 언제쯤 호전될지를 판단할수
없는데다 철저한 정지작업이 승용차사업진출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하자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삼성이 승용차사업진출문제를 한없이 끌고만 있을수는 없는
처지이다.
삼성측은 승용차사업진출 시기를 지금으로 잡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를
세계자동차업계의 대대적인 재편움직임을 들고 있다. 최근 미국의 빅3를
비롯, 일본 유럽업체들은 21세기의 생존전략으로 과거 수직적인 협력관계를
벗어나 수평적인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다.
이같은 과정을 거쳐 막대한 개발및 투자비용을 서로 덜고 필수적인
풀라인업체제를 유지해 다른 업체들을 도태시키면서 살아남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은 이같은 세계적인 추세에서 군소업체들은 결코 살아남을수 없으며
삼성은 닛산과 같은 배에 동승, 세계적인 자동차업체로 성장하겠다는 기본
전략을 갖고 있다.
삼성은 이같은 세계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이 한창 진행중에 있으며 앞으로
2-3년내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새롭게 자동차사업에 뛰어드는
삼성으로서는 지금 이대열에 참여하지 않으면 완전히 실기할수밖에 없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삼성의 승용차사업계획서 제출시기는 1년을 넘기지는 않을 것이라
는게 업계의 관측이다. 삼성측도 시기를 "현재로서는 점칠수 없으나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 재시도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삼성의 이같은 잠행결정에 대해 기존업체들은 삼성의 결정과 관계없이
정부가 신규참여에 대한 정책방향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존업계 한관계자는 "삼성의 승용차사업 신규진출문제는 단순히 자동차
산업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기간산업에 대한 산업정책방향 문제"라며
이에대해 정부가 나서 뚜렷한 방향제시를 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류키로 했다.
이는 삼성이 늦어도 오는 6월중 상공자원부에 기술도입신고서를 제출하고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승용차생산 준비에 착수하려던 계획을 일단 수정한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삼성그룹은 최근 이같은 방침을 확정하고 상공자원부등 정부측에 이러한
내용을 비공식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17일 "승용차 기술도입신고서 제출을 당분간 보류키로
결정했다"며 "그러나 보류기간이 얼마나 될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적어도 1년 정도의 여유를 갖고 국내외
상황변화에 대처하겠다는 것이 삼성의 기본 인식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의 이같은 방침이 전달됨에 따라 상공자원부도 삼성의 기술도입신고서
제출이전이라도 "불허방침"을 밝히려던 당초 입장을 바꿔 이문제로 인한
논란이 더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삼성은 6월중 기술도입신고를 마치고 7월부터 공장착공과 함께
본격적인 승용차생산준비에 들어간다는 당초 계획에서 후퇴, 당분간
수면하에서 상황변화를 지켜보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의 이같은 방침선회는 지금으로서는 신고서 제출강행이 스스로
"무리수"를 두는 것이며 정부에 대해서도 상당한 부담을 줄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이러한 보류방침의 결정도 정부와의
상호교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삼성은 보류기간동안 세계자동차시장의 움직임과 정부의 입장변화를
신중히 지켜본뒤 "적절한 시기"를 골라 승용차시장 진출을 재시도 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이 이처럼 기술도입신고를 통한 승용차시장 신규진출을 당분간
보류키로 한 가장 큰이유는 이문제가 단순히 밀어붙여서 될일이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정부가 현시점에서 삼성의 승용차시장 신규진출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직간접적으로 전달해오면서 이러한 분위기아래서는 기술도입
신고서 제출을 강행한다해도 정부의 기본원칙이 빠뀔 가능성이 전혀 없어
오히려 일을 그르칠 우려가 크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상공자원부등 정부측은 그동안 삼성측이 사전협의및 통보과정을
거치지도 않고 기술도입계약을 서둘러 발표하는등 일방적인 행동을 편데
대해 당혹감과 함께 불만을 표시해왔다.
또 이문제가 정부측으로서도 손쉽게 다루기가 매우 어려운 민감한 사안인
만큼 당분간 이문제를 거론하지 말것을 직간접적으로 권유해왔다. 이에대해
삼성측도 일방적인 행동으로 오히려 분위기가 꼬이고 있음을 자인, 앞으로는
승용차를 둘러싼 모든 문제에 대해 정부와 충분한 논의를 거치는 것은 물론
한동안 이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는 내부 방침을 세운 것이다.
삼성측은 상황이 이처럼 어렵게 돌아가게 된 것이 지난달 산업연구원
(KIET)의 자동차시장 신규참여에 대한 연구보고서가 삼성에 불리하게
나오자 승용차생산공장 7월 착공계획과 함께 닛산과의 기술도입계약을
서둘러 발표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느닷없는 사업계획및 닛산과의 기술도입계약발표가 정부의 운신폭을 좁게
만들면서 모든 부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는 판단이다.
삼성은 당초 닛산과의 계약발표에 앞서 전기자동차 개발발표등을 통한
기술력과시와 함께 정부가 추진중인 업종전문화및 경제력집중완화정책에
부응하는 그룹의 구조개편 노력을 대외에 공표하는등 치밀한 사전 정지작업
을 펼 계획이었다.
계약발표 직후 거론된 일부 계열사및 업종정리문제등도 이같은 정지작업
차원의 대안 마련을 위해 검토된 사안들이다. 특히 그룹 구조개편은 자동차
사업에 막대한 투자가 들어가는 만큼 비주력업종에 대한 투자가 불가능하다
는 차원에서도 거론되고 있다.
또 구조개편이 정부정책을 옹호하면서 정부에 승용차사업 허용의 명분을
줄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따라서 삼성은 앞으로 기술도입신고의 "적절한 시기"를 잡는데 앞서
그동안 소홀했던 정지작업을 편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그룹내부에서도 "적절한 시기"가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뚜렷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여론이나 정부의 분위기가 언제쯤 호전될지를 판단할수
없는데다 철저한 정지작업이 승용차사업진출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하자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삼성이 승용차사업진출문제를 한없이 끌고만 있을수는 없는
처지이다.
삼성측은 승용차사업진출 시기를 지금으로 잡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를
세계자동차업계의 대대적인 재편움직임을 들고 있다. 최근 미국의 빅3를
비롯, 일본 유럽업체들은 21세기의 생존전략으로 과거 수직적인 협력관계를
벗어나 수평적인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다.
이같은 과정을 거쳐 막대한 개발및 투자비용을 서로 덜고 필수적인
풀라인업체제를 유지해 다른 업체들을 도태시키면서 살아남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은 이같은 세계적인 추세에서 군소업체들은 결코 살아남을수 없으며
삼성은 닛산과 같은 배에 동승, 세계적인 자동차업체로 성장하겠다는 기본
전략을 갖고 있다.
삼성은 이같은 세계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이 한창 진행중에 있으며 앞으로
2-3년내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새롭게 자동차사업에 뛰어드는
삼성으로서는 지금 이대열에 참여하지 않으면 완전히 실기할수밖에 없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삼성의 승용차사업계획서 제출시기는 1년을 넘기지는 않을 것이라
는게 업계의 관측이다. 삼성측도 시기를 "현재로서는 점칠수 없으나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 재시도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삼성의 이같은 잠행결정에 대해 기존업체들은 삼성의 결정과 관계없이
정부가 신규참여에 대한 정책방향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존업계 한관계자는 "삼성의 승용차사업 신규진출문제는 단순히 자동차
산업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기간산업에 대한 산업정책방향 문제"라며
이에대해 정부가 나서 뚜렷한 방향제시를 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