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키금성그룹/동양그룹, 데이콤 경영권 다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데이콤의 경영권확보를 둘러싸고 동양그룹과 럭키금성그룹이 정면대결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동양그룹은 8일 최근 실시된 데이콤의 전환사채매각 입찰에서 럭키
금성그룹이 럭키증권을 비롯 국제전선 희성금속 등 직,간접관계사를 통해
매각대상사채의 42.9%인 1백20장을 매입, 데이콤의 경영권쟁탈을 추진 중
이라고 비난하고나서면서 표면화됐다.
더욱이 럭키금성그룹은 합법적인 범위내에서 데이콤의 지분확보에 나서
겠다고밝혀 앞으로 데이콤 경영권 확보를 둘러싸고 양그룹간의 대결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럭키금성그룹의 관계자는 "우리는 전기 전자사업에 강점을 갖고있다"면서
"전기통신사업의 시너지효과와 통신시장의 개방에 대응하기 위해 법의
테두리내에서 데이콤의 지분확보에 나설것"이라고 데이콤 지분율 확보경쟁
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했다.
럭키금성그룹이 직.간접관계사를 통해 매입한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지분율이 7.8%에 달해 기존보유 주식 5.4%를 합칠 경우 총 13.2%가
되어 데이콤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동양측의 주장이다.
반면 현재 데이콤주식의 10%를 갖고있는 동양그룹은 데이콤의 전환사채
60장(주식전환시 지분율 1.4%)을 매입하는 데 그쳤다.
이에따라 동양측은 통신설비제조업체를 갖고있는 럭키금성그룹의 이같은
사채매입을 통한 지분율확보에 대해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있다.
동양은 데이콤의 전환사채를 대량매입한 럭키금성그룹의 의도에 대해 제2
이동통신사업자 선정당시 전경련을 비롯한 재계가 동양을 데이콤의 대주주
로 묵인해준 것조차 망각한 비윤리적인 처사라고 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럭키금성그룹은 "공기업인 데이콤의 경영권 문제를 몇몇재계 인사
들이 결정했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동양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럭키금성그룹은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이라는 동양측의 주장에 대해서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번 데이콤 전환사채매각에서 확보한 사채는 럭키증권 11장, 국제전선
7장 등 18장(주식전환시 지분율 1.3%)에 불과하다고 럭키금성은 밝혔다.
럭키금성은 동양측에서 그룹관계사로 지적하는 범한종합물류 희성금속
세일산업 등 15개사는 모두 그룹과 계열관계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기업은 이미 럭키금성그룹과 계열분리됐거나 은행감독원으로부터
친족제외신청승인을 받은 회사로서 전혀 무관하다는 것이다.
이번에 전환사채를 매입, 동양측으로 부터 위장계열사로 오해받고 있는
다화산업 미디아트 승산 정화 등도 허완구씨와 허승표씨 등의 개인사업체
라는 것이 럭키금성측의 주장이다.
럭키금성그룹은 또 현재 보유하고 있는 데이콤주식은 금성정보통신(1.48%)
금성통신(0.13%) 금성사(0.74%) 등이 갖고있는 2.35%에 불과하며 허완구
(0.98%) 허남각(1.03%) 허광수(0.99%)씨 등의 지분 3%도 그룹과 관계없이
개인차원의 주식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럭키금성그룹은 이번에 매입한 데이콤의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더라도 총 3%에 못미쳐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상 설비제조업체가 3%
이상을 보유하지 못하게 하고있는 관계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아무튼 럭키금성그룹과 동양그룹간의 데이콤 경영권쟁탈전은 상당기간
계속될것으로 보인다.
특히 체신부가 이달 중 지난 1,2일에 매각하고 남은 데이콤 전환사채
96장(액면가 1억원권 96장)을 재매각할 예정으로 있어 동양이나 럭키금성
그룹이 지분확보를 위해 어느정도 추가매입할런지에 관심이 모아지고있다.
양그룹의 이같은 데이콤 경영권쟁탈전은 오는 6월말 정부의 통신사업구조
조정 정책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가에 따라 승패가 좌우될 전망이다.
체신부가 현행 법대로 전기통신설비제조업체의 데이콤지분보유한도를 총
발행주식의 3%로 계속 제한할 경우 럭키금성그룹은 3%이상의 지분을 확보
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동양그룹은 비통신설비제조업체이기 때문에 현행대로 10%까지
데이콤 지분을 가질 수 있어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정반대로 전기통신사업법이 개정돼 데이콤 등 일반통신사업자의 1인 소유
지분한도와 전기통신설비제조업체의 소유한도가 현행 10%및 3%에서 대폭
확대될 경우는 지분을 많이 가진 자가 데이콤의 최대주주의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김영근기자>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동양그룹은 8일 최근 실시된 데이콤의 전환사채매각 입찰에서 럭키
금성그룹이 럭키증권을 비롯 국제전선 희성금속 등 직,간접관계사를 통해
매각대상사채의 42.9%인 1백20장을 매입, 데이콤의 경영권쟁탈을 추진 중
이라고 비난하고나서면서 표면화됐다.
더욱이 럭키금성그룹은 합법적인 범위내에서 데이콤의 지분확보에 나서
겠다고밝혀 앞으로 데이콤 경영권 확보를 둘러싸고 양그룹간의 대결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럭키금성그룹의 관계자는 "우리는 전기 전자사업에 강점을 갖고있다"면서
"전기통신사업의 시너지효과와 통신시장의 개방에 대응하기 위해 법의
테두리내에서 데이콤의 지분확보에 나설것"이라고 데이콤 지분율 확보경쟁
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했다.
럭키금성그룹이 직.간접관계사를 통해 매입한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지분율이 7.8%에 달해 기존보유 주식 5.4%를 합칠 경우 총 13.2%가
되어 데이콤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동양측의 주장이다.
반면 현재 데이콤주식의 10%를 갖고있는 동양그룹은 데이콤의 전환사채
60장(주식전환시 지분율 1.4%)을 매입하는 데 그쳤다.
이에따라 동양측은 통신설비제조업체를 갖고있는 럭키금성그룹의 이같은
사채매입을 통한 지분율확보에 대해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있다.
동양은 데이콤의 전환사채를 대량매입한 럭키금성그룹의 의도에 대해 제2
이동통신사업자 선정당시 전경련을 비롯한 재계가 동양을 데이콤의 대주주
로 묵인해준 것조차 망각한 비윤리적인 처사라고 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럭키금성그룹은 "공기업인 데이콤의 경영권 문제를 몇몇재계 인사
들이 결정했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동양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럭키금성그룹은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이라는 동양측의 주장에 대해서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번 데이콤 전환사채매각에서 확보한 사채는 럭키증권 11장, 국제전선
7장 등 18장(주식전환시 지분율 1.3%)에 불과하다고 럭키금성은 밝혔다.
럭키금성은 동양측에서 그룹관계사로 지적하는 범한종합물류 희성금속
세일산업 등 15개사는 모두 그룹과 계열관계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기업은 이미 럭키금성그룹과 계열분리됐거나 은행감독원으로부터
친족제외신청승인을 받은 회사로서 전혀 무관하다는 것이다.
이번에 전환사채를 매입, 동양측으로 부터 위장계열사로 오해받고 있는
다화산업 미디아트 승산 정화 등도 허완구씨와 허승표씨 등의 개인사업체
라는 것이 럭키금성측의 주장이다.
럭키금성그룹은 또 현재 보유하고 있는 데이콤주식은 금성정보통신(1.48%)
금성통신(0.13%) 금성사(0.74%) 등이 갖고있는 2.35%에 불과하며 허완구
(0.98%) 허남각(1.03%) 허광수(0.99%)씨 등의 지분 3%도 그룹과 관계없이
개인차원의 주식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럭키금성그룹은 이번에 매입한 데이콤의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더라도 총 3%에 못미쳐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상 설비제조업체가 3%
이상을 보유하지 못하게 하고있는 관계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아무튼 럭키금성그룹과 동양그룹간의 데이콤 경영권쟁탈전은 상당기간
계속될것으로 보인다.
특히 체신부가 이달 중 지난 1,2일에 매각하고 남은 데이콤 전환사채
96장(액면가 1억원권 96장)을 재매각할 예정으로 있어 동양이나 럭키금성
그룹이 지분확보를 위해 어느정도 추가매입할런지에 관심이 모아지고있다.
양그룹의 이같은 데이콤 경영권쟁탈전은 오는 6월말 정부의 통신사업구조
조정 정책이 어떻게 결정될 것인가에 따라 승패가 좌우될 전망이다.
체신부가 현행 법대로 전기통신설비제조업체의 데이콤지분보유한도를 총
발행주식의 3%로 계속 제한할 경우 럭키금성그룹은 3%이상의 지분을 확보
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동양그룹은 비통신설비제조업체이기 때문에 현행대로 10%까지
데이콤 지분을 가질 수 있어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정반대로 전기통신사업법이 개정돼 데이콤 등 일반통신사업자의 1인 소유
지분한도와 전기통신설비제조업체의 소유한도가 현행 10%및 3%에서 대폭
확대될 경우는 지분을 많이 가진 자가 데이콤의 최대주주의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김영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