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쌀시장개방에 따른 영농의 기업화가 시급하다고 보고 "농지은행"을
설립,농지거래를 활성화 하기로 했다.

신설될 농지은행의 주요업무는 농민의 농지를 팔아주거나 비농민도 일정한
조건하에 농지를 매입,신탁할 수 있도록 알선하는 것으로 민간인이나 기업
들의 농지매입과 이용을 쉽게하기위한 조치이다.

정부는 이와함께 농촌공업화촉진을 위해 현재의 농공단지의 운영과 지원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농촌 복지향상을 위해 농촌부흥세를 목적세로
신설키로 했으며 농민 연금제 및 재해보상제도를 조기에 실시키로 했다.

황인성 국무총리는 15일 오후 우루과이라운드협상결과와 대응방안이라는
국회보고에서 이같은 장단기대책을 밝혔다.

황총리는 이날 보고에서 국내쌀시장안정을 위해 수입쌀은 수출가공용의
원자재로 사용하거나 일정량을 흉년이나 통일에 대비해 비축하겠다고
밝혔으며 감귤 마늘 고추등은생산자단체 또는 정부가 직접수입,저장 가공
판매함으로써 국내시장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황총리는 장기대책과 관련,연내에 농업 경쟁력강화 위원회,농촌 생활여건
개선 위원회,농촌 후생복지 위원회등 3개 위원회를 설치해 6개월 이내에
농정대책의 구체적 추진방안을 확정한뒤 쌀관세화 유예기간인 향후10년동안
이를 단계별로 추진하겠다고 보고 했다.

또한 농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해 농업진흥지역내의 경지정리 사업을 4년
이내에 완료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중대형의 농기계도 반값에 공급
하겠다고 약속했다.

황총리는 이와함께 국제경쟁력강화를 위해 농산물의 수출가공산업을 적극
육성하겠으며 대통령자문기구인 농업정책심의회에 농민대표를 참여시키는등
기구를 대폭 강화해 자신의 책임하에 농촌 구조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다짐했다.

황총리는 이밖에 농어촌의 생활환경 교육 문화수준향상을 위해 <>향후10년
간 5만ha의 농촌 도로확대와 포장사업 완료<>농촌 고등학교의 특수 전문대
개편<>농촌 주택 현대화와 농촌 종합병원의 증설등의 장기대책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