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시장 개방에 따른 후속대책회의가 정부 재계 등에서 숨가쁘게 열리고
있다.

며칠전만 해도 ''쌀시장 고수''를 내세우던 정부의 방침에 따라 표면상으로
조용하던 민.관.정이 4일일밤 제네바협상을 고비로 바쁘게 돌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전날에 이어 6일에는 황인성 국무총리주재의 UR관련 관계장관회의를 비롯
민자당 고위당직자회의,청와대수석비서관회의,경제단체회의 등이 열렸다.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에서 정부가 국내 쌀시장을 단계적으로 개방키로 한데
대해 대한상의 전경련 무역협회등 경제단체들은 이제는 시장개방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을 농촌지역에 새로운 소득원을 마련하는데 정부 민간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 논평했다.

전경련은 6일 "개방이 현실화된 지금 농업의 구조조정과 국토의 효율적
이용으로 농업경쟁력을 높이고 농민소득을 늘릴 수 있는 농업정책이 필요
하다"며 "전경련에서도 농민들이 잘살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것"이라고 약속
했으나 대책의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전경련은 이날 회장단 간담회에 이경식 부총리가 UR협상과 관련,재계도
대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촉구한데 대해 이같이 입장을 정리했다.

대한상의는 "쌀시장개방이 불가피해진 지금 가장시급한 과제는 상대적
피해계층이라할 농가에 새로운 소득원을 마련하는것"이라며 "예컨대 농민
들에게 보다 큰 이익이 돌아갈수 있는 농지의 적극적 활용방안을 정부가
제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무역협회는 "정부에서 획기적인 농촌구조 개선사업을 추진해 농민소득
증대에 주력해야 할것이며 우리 무역업계도 해외시장 개척 기금을 확대,
우리농산물 개발 및 수출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