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지하철의 안전운행을 위해 시민단체들이
발벗고 나섰다.
녹색교통운동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서울YMCA 환경운동연합
장애우권익연구소 등 5개 시민운동단체는 `시민을 위한 지하철 만들기
시미연대회의''(공동대표 박병소 서강대교수등)를 오는 11일 정식 출범
시킨다.
시민연대회의는 앞으로 지하철 안전운행 환경 및 운영문제를 지하철
의 주인이자 이용자인 시민이 직접 해결하는 시민 의식개혁운동으로 펼
칠 계획이다.
연대회의는 우선 출범과 동시에 조사평가팀을 구성, 오는 12월10일까
지 1개월간 <>지하철운영 및 제2기 지하철 운영주체문제 <>환경문제
<>안전 및 서비스 <>장애자시설 등을 조사해 종합보고서를 작성할 예정
이다.
특히 지하철 내 분진 및 발암성물질 라돈 석면 등의 오염도와 안전사
고의 71%를 차지하는 차량 고장실태를 집중적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연대회의는 보고서 작성후 공청회를 개최, 시민에게 널리 알리는 한
편 서울시 지하철공사에 대한 정책건의, 교통부 국회에 대한 청원, 관
련 법률개정, 캠페인등을 벌일 계획이다.
또한 수도권전철 지하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의원 국회의원 시
민단체대표와 학자등 전문가와 관계당국이 참여한 `수도권 지하철 전철
민관정책협의회''(가칭) 구성을 추진키로 했다.
연대회의측은 서울시의 지하철운영이 인력감축에 의한 경영합리화와
수익성 증대에 치우친 나머지 투자에 소홀, 살인적인 차내 혼잡도, 허
용치의 10배를 초과한 공기오염, 빈번한 차량고장사고 등을 불러 일으
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요금을 토대로 한 영업수익이 흑자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지하철
건설부채는 2조9천억원에 이르러 그 피해가 요금인상을 통해 시민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간사단체인 녹색교통운동의 정윤광대표는 "지하철운영이 그동안 시민
안전과 편익을 소홀히 해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는 등 시민불편을
가중시켜 왔다"며 "연대회의 결성을 계기로 지하철공간을 시민의 쾌적
한 생활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범시민운동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