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성과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성과급이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수년간 계속 지급돼 고정 상여금화함으로써 실질임금을 크게 상승
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재벌그룹들의 임금인상률은 정부의 억제선인 4.7%
를 훨씬 상회하는 13%에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8일 재계에 따르면 지난해에 정부가 임금상승 억제를 위해 총
액임금제를 도입하면서 이에 따른 근로자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
해 기업에게 도입을 장려한 성과급이 최근 수년간 계속 인상돼
지급됨으로써 정부의 당초 의도와는 달리 임금인상을 오히려 부채
질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대그룹은 계열사 중 일부 금융사를 제외한 모든 업체가 90
년 이후 최근까지 통상임금의 1백-2백%선에서 성과급을 도입했
으며 90년에 통상임금의 1백%에서 성과급을 처음 도입해 계속
지급해 온 현대자동차는 올해 1백50%로 성과급을 올릴 계획이
다. 또 현대건설, 현대정공, 현대중공업 등 대부분의 주요 계
열사들도 올해도 성과급을 인상해 지급할 예정이다.
그룹차원에서 상.하반기별로 계열사를 3개 등급으로 나눠 평가
한 뒤 이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해 오던 삼성그룹은 지난해에는
연간기준으로 통상임금의 20%에서 40%선에서 성과급을 지급했
으나 올해는 새 임금체계 도입과 함께 실제 지급가능한 액수가
통상임금의 60%에서 1백20%선으로 대폭 늘었다.
대우그룹의 대우조선은 지난해에 통상임금의 1백%로 지급했던
성과급을 올해는 1백30%로 올려 계속 지급키로 했고 대우전자
도 지난해 30만원으로 정액지급했던 성과급을 올해는 통상임금의
1백%로 크게 확대했다.
한편 대우중공업과 대우자동차도 올해 각각 1백%와 1백50%
의 성과급을 도입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