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천만 수도권시민의 상수원인 팔당호의 수질개선을 위해 지난
91년7월 팔당호 퇴적물을 준설키로 했다가 2년만에 준설계획을 사실상
백지화하는등 팔당호 수질보전의 난맥상이 노출되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2억5천만의 예산을 들여 팔당호 퇴적물준설을 위한
타당성및 기초조사를 실시한후 올해 5억5천만원의 설계비까지
책정,추진하다가 백지화해 예산낭비와 함께 준설계획수립과 백지화의
배경에 강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처는 6일 그동안 논란속에 추진해온 팔당호 준설사업이 전문기관의
용역조사결과 타당성이 없다고 판단돼 준설계획을 보류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환경처는 그대신 내년부터 수질보전을 위해 팔당호유역 영양염류유입규제
계획을 수립, 오는 96년부터 이를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환경처가 7백24억원(기본설계 가격)을 들여 96년부터 2000년까지
경기도 광주군 팔당호의 경안천 유입수역 3백25만 에서 평균심도 90 로
3백만 의 퇴적물을 준설하려던 대규모 공사계획은 취소됐다.

환경처 관계자는 7백24억원이라는 막대한 사업비에 비해 수질개선효과가
의문시되는데다 외부의 염류유입이 많아 준설효과를 거둘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환경처가 "준설사업이 팔당호 수질개선을 위한 시급한 사업이
아니다"는 용역보고서의 결과에도 불구,2년째 준설계획을 구체화하다가
갑자기 유보결정을 내린 배경에 대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최근까지 팔당호의 준설이 수도권 시민의 식수원을 개선할수 있는
방안이라고 주장해온 환경처가 올해 배정된 올해 예산 5억5천만원까지
반납하면서 수중농도보다 1만5천배나 많은 팔당호 밑바닥
인(축산폐수등에서 나온 인성분)을 제거치않키로 한것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관계자들은 "경안천에서 흘러들어 팔당호 밑바닥에 쌓여 있는 3백만
의 퇴적물은 여전히 시한폭탄과 같은 존재로 남아있다"며 "수도권시민의
건강을 위해 팔당호 준설계획수립과 취소배경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있어야할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