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완화방침에도 불구하고 그린벨트지역 땅값이 약세를 보이고있다.
10일 부동산중개업소에 따르면 신정부 출범이후 그린벨트지역의 건축
규제를 대폭완화한다는 정부방침이 잇달아 발표되고있으나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의 그린벨트내 땅값은 거래부진속에 약세국면을 면치못하고
있다.
특히 일부 그린벨트지역에서는 거래가 완전히 중단된채 매물만 쌓이며
가격이 떨어지는 추세이다.
수도권에서는 구리 하남 고양 과천등 서울근교에서 지역구분없이 하락세를
보이고있다.
이들 지역은 지난해 하반기 그린벨트에 대한 건축규제완화방침이 처음
거론될때 지역에따라 잠시 오름세를 보이기도했으나 올들어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 매물이 쌓이고있다.
도시의 대부분이 그린벨트인 하남시의 경우 전답이 평당20만~30만원선에
매물이 나오고있지만 거래는 전무한 실정이다.
성남시도 주거지역인근의 전답이 평당 70만~80만원선에 가격이 형성된채
매물만 쌓이고있다.
분당인근의 대지도 평당 2백만~5백만원선에 매수세가 끊겼다.
구리시도 대지가 평당 1백20만~1백30만원,전답은 20만~30만원선의 약세를
보이고있다.
서울시내 그린벨트도 거래가 중단된채 가격이 떨어지고있다.
은평구 홍은동 불광동 진관내동 인근의 그린벨트내 대지는 평당 1백50만
~2백만원선으로 지난해말에 비해 50만원 하락했다.
대지기준으로 강서구 신정동 방화동도 평당 1백만~3백만원으로 계속
약세이다.
전원주택지로 관심을 모은 양재동 포이동 세곡동 일대도 건물있는 대지가
평당 4백만~5백50만원선으로 지난해말에 비해 10%정도 하락한채 매수세는
거의 끊겼다.
그린벨트내 건축규제완화방침이 그린벨트내 토지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것은 지방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시의 36.1%가 그린벨트인 부산에서는 건축규제완화에도 불구,올들어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