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강화를 위해 수급기업에 대한 지원실적이
양호한 약1백50개 대기업을 선정, 이들 대기업이 추천하거나 보증한 중소기
업을 중점 지원키로 했다.
또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자본참여비율도 현행10%에서 20%수준으로 높
여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경영지원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17일 상공부에 따르면 91년현재 6만7천여개의 전체중소기업중 대기업등에
납품하는 수급기업이 전체의 73%를 넘어서는등 수급기업비중이 급증함에 따
라 대기업이 추천한 중소수급기업에 1조3천2백억원의 구조조정재원을 우선
지원키로 했다.
정부는 이중 대기업과 도급거래를 맺고있은 중소기업이 2만4천여개로 전체
의 36%에 이르고 있으나 대기업의 지원을 전혀 못받는 기업이 아직 많다고
보고 이같은 방침을 정했다.
정부는 이를위해 오는22일 중소기업구조개선추진위원회를 열어 지원대상 중
소기업을 추천할 대기업범위와 기술성 사업성 기업인자세등 지원대상 중소기
업의 선정기준을 확정할 계획이다.
상공부는 중소기업을 추천할수 있는 대기업으로 중소기업계열화촉진법상 수
급기업협의회를 구성한 1백24개대기업과 각업종별 우수기업을 포함한 약1백
50개기업을 선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1조3천2백억원의 구조조정자금이 지원될 2천개 중소기업을 부채
비율 전업률등을 평가해 선정할 예정이었으나 기술개발투자가 왕성한 기업들
이 부채비율 높다는 점을 감안, 기술성 사업성및 기업인자세등을 종합해 선
정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자본참여비율이 경쟁국에 비해
낮아 대기업이 기술지원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 현재 10%까지 허용되
고 있는 대기업의 중소기업 자본참여비율을 20%까지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