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산업의 불황으로 도산하거나 휴폐업하는 업체가 속출하고 있으나
신발산업합리화자금의 용도나 대출조건이 까다로워 신발업체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있다.

26일 상공부에 따르면 신발산업을 합리화업종으로 지정,금년중에
금융기관시설자금과 중소기업구조조정기금으로 7백억원을 지원키로 했으나
현재까지 대출된것은 3건 7억6천1백만원 뿐이며 신청중에 있는것도 19건
99억원에 불과한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신발업체들이 운전자금 조달에도 애로를 겪을만큼 경영이
악화돼 시설투자여력이 없는데도 합리화지원자금은 시설개체용으로 제한돼
있는데다 앞으로 경영여건의 호전을 기대하지 못하고 있기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이자금의 금리가 현재 연리12%이나 내년부터 지원자금을 연리7%의
공업발전기금으로 전환함에따라 시설개체계획을 내년이후로 미루고 있는
것도 한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고있다.

이에따라 신발업체들은 올해 소진이 안된 6백억원의 합리화지원자금을
시설개체외에 업종전환때도 지원토록 할것을 요구하고있다.

한편 상공부는 내년부터 신발산업합리화자금을 장기저리의
공업발전기금(7백억원)으로 전환토록 한데 이어 이날 신발산업합리화자금
취급기관에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장기신용은행등 3개은행 외에
신발업체의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시중은행 2~3개를 추가,내년부터 자금을
취급토록했다.

또 신발업체의 경영사정을 감안,직업훈련비 분담비율을 부분적으로
인하조정키로 했다.

부산지역 신발업계의 경우 지난1년사이에 종업원 5백명이상인 중견기업이
13개나 도산 또는 휴폐업했으며 부품업체를 포함할경우 전체의 3분의1에
가까운 2백50여개사가 문을 닫아 2만여명의 실직자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