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민자유치부진으로 차질을 빚고있는 광양항개발을 촉진하기위해
광양항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해 부산항에 전용선석을 배정해주기로
했다.

13일 해항청이 마련한 "광양항개발사업 민자유치보강방안"에 따르면
원양선사들이 기피하는 광양항과 선호하는 부산항을 연계하여 총5백억원의
자본을 투자하는 민간기업에 대해 양항에 각각 1선석씩의 전용터미널을
배정해주기로 했다.

해항청은 이같은 부산 광양항 연계개발방식을 통해 부산.광양에 오는
96년까지 건설키로한 각 4개선석에 4개업체(컨소시엄투자포함)가 각각
5백억원씩을 투자토록해 모두 2천억원의 부족재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이 자금은 컨테이너부두의 개발및 재원조달책임을 맡고있는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이 채권을 발행,민자업체가 인수하는 방안으로
조달된다.

해항청이 이같이 원양선사들의 의견을 대폭 수렴한 민자유치방안을
마련함에따라 연내 참여업체를 선정,내년부터 공사에 착수할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오는 2000년에 대비,광양항을 부산항과 함께
2대컨테이너항으로 육성키로 하고 국적.외국적선사등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민자참여업체를 물색했으나 현대상선 한진해운등 국내업체들은 정부가
사업성이 좋은 부산항은 자체개발하고 여건이 나쁜 광양항에 민간선사의
자본참여를 요구한다며 이를 기피해 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