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다른 공급업체를 활용할 수 있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대만 TSMC는 훌륭한 파트너이지만 공급망에서 더 많은 다양성을 원한다."(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1위 기업 TSMC의 대형 고객사인 미국 엔비디아와 AMD의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9~12일(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골드만삭스 테크 콘퍼런스 2024'에서 한 말이다. 두 CEO의 발언에 대해 국내에선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가 엔비디아, AMD의 최첨단 칩 생산 계약을 수주할 수 있을 것"이란 희망 섞인 관측이 나왔다.현실화할 수 있는 분석이지만 젠슨 황이 언급한 '다른 공급업체'나 리사 수가 얘기한 '공급망의 다양성'은 삼성전자가 아닌 제3의 기업일 수도 있다. 바로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이다. 인텔, "파운드리 안 접는다...분사 후 육성"인텔은 16일 "인텔파운드리서비스(IFS)를 분사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올해부터 IFS에 대해 별도의 실적을 발표했는데 완전히 분리해 자회사로 만들기로 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인텔은 IFS의 기업공개(IPO)도 검토 중이다.한때 인텔의 파운드리사업부 매각설도 나왔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WSJ은 "투자자들이 인텔에 파운드리를 분리·매각하는 방안을 권장했지만, 그 수준까지는 이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인텔은 2012년 파운드리 사업을 시작했지만, 성과를 못 내고 2018년 철수했다. 하지만 2021년 2월 최고경영자(CEO)가 된 팻 겔싱어는 파운드리를 미래 먹거리로 보고 바로 다음 달 파운드리 재진출을 공식화했다.인
증류주에 재료를 첨가한 하이볼이 MZ(밀레니얼+Z)세대 사이 유행하면서 지난해 리큐르 주세(酒稅)가 전년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세 징수액(국내분 신고현황 기준) 중 리큐르 주세는 지난해 190억원을 기록해 2022년(107억원)보다 77.57%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주세(50억원)와 비교하면 3년 사이 4배 가까이로 불어난 셈이다.전체 주세가 2022년 2조7938억원에서 지난해 2조8233억원으로 1.06% 늘어나는 데 그친 점을 고려하면 두드러지는 증가세다. 주세법상 분류 기준으로 리큐르는 탄산수·토닉워터 등을 첨가하는 하이볼 재료 주종이다.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RTD(레디투드링크) 하이볼 제품 자체가 리큐르로 분류되기도 한다. 통상 RTD 하이볼 다수에는 위스키 대신 주정이 들어가는 제품이 많다. 초기 하이볼 유행과 함께 집에서 술을 마시는 홈술족 사이 인기를 끈 위스키 주세는 눈에 띄게 꺾였다. 2022년 65억원에서 지난해에는 약 27억원으로 고꾸라졌다.다만 지난해 전체 주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희석식 소주(1조3496억원)와 맥주(1조2622억원)가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지난 3년 7개월간 아동 성착취물 제작·유포 등 혐의로 경찰에 붙잡힌 인원이 4000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17일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7월까지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의 제작과 배포 등을 금지한 청소년성보호법 11조 위반 혐의로 경찰에 적발된 건수는 모두 4763건이었다.연도별로는 2021년 1747건, 2022년과 지난해 각각 1052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912건, 검거 인원은 2021년 1331명, 2022년 986명, 지난해 978명, 올해 1∼7월 762명이다. 다만 총 검거 인원 4057명 중 구속 상태로 검찰에 송치된 건 261명, 전체 6.4%에 불과했다.피해 신고 접수와 단순 소지·시청 등 각 범죄 유형별 현황에 대해서는 따로 집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2020년 'N번방' 사건을 계기로 개정된 청소년성보호법은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구입하거나 단순 소지·시청한 자에 대해서도 1년 이상의 징역을 처하도록 양형을 강화했다.황 의원은 "N번방 사건 이후에도 수사 당국이 아동 성착취물 피해 정도를 여전히 경미하게 판단하는 경향을 보인다"며 "딥페이크 등 성착취물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은 상황에서 아동 성착취물 범죄에 대해서도 명확한 현황 분석을 통해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