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업계는 OECD의 진의파악과 함께 국내반도체산업에 미칠 영향분석에
나섰다.

업계는 미국과 EC가 한국산 메모리제품에 대해 반덤핑제소를 한데이어
OECD마저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이려한다는 사실이 달갑지는 않지만
소극적으로 대응할 때는 아니라는데 시각을 같이하는 분위기다.

첫째 국내메모리 생산의 대부분을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는점 때문이다.
따라서 굳이 11월 회의에 불참,스스로 고립화의 길을 걷는다면 이로울게
없다는 분석이 깔려있다.

EC는 지난 2년간의 조사를 끝내고 조만간 한국산반도체의 덤핑수출여부를
결정내릴 계획이며 미국도 8월께 예비 판정을 내리게 된다.

이때 OECD의 요청을 거부,EC와 미국측의 신경을 건드리는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석이 강하다.

이밖에 반도체산업의 성격이 국제적기술협력을 바탕으로 발전되어왔다는
사실도 무시할수없다. 특히 국내 반도체산업은 후발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술을 외국에서 도입해 쓰고있다는 실정이다.

업계의 한관계자는 한국반도체의 국제적지위가 다소 과대포장되어있다고
지적하고 회의에 참석하면 국내산업이 메모리분야에 편중,설비와
특수용반도체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있다는 현실을 정확히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관계자는 이어 11월회의가 다자간 협상으로 발전,결론에 이르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고 전망,이기간동안 세계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늘려가는
동시에 ASIC(주문형반도체)MCU(마이컴)등 비메모리분야도 강화해
나가야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업계의 입장을 정리하고있는 한국반도체협회 김치락부회장은
"반도체산업의 국제화가 진행되면서 다자간협상체제로 나아가는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라고 분석했다.

<김영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