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노원구 도시쓰레기소각공사 입찰앞두고 주도권공방치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는 8월 서울노원구 도시쓰레기소각공사 첫 입찰을 앞두고 플랜트업체와
건설업체의 주도권 공방이 치열하다.
플랜트업체들은 기술축적을 내세워,건설업체들은 프로젝트관리능력을
앞세우면서 공사주도권을 부각시키고 있다.
도시쓰레기소각설비는 오는 97년까지 2조원이상의 물량이 쏟아질
대형공사. 플랜트업체나 건설업체에 있어서는 놓칠수 없는 기회다.
이번 입찰에서 수주하는 업체가 향후 입지에 결정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양측이 논리공방을 벌이게 된것은 당초 예상됐던 공동도급방식에서
턴키방식으로 입찰방법이 바뀔것이 확실시되어서이다. 건설업체에
입찰문호가 넓혀진 것이다.
서울시는 입찰안에서 건설업체도 기술용역회사및 외국업체와 제휴가능한
회사는 참여할수 있도록 했다. 예산회계법상 대형공사는 건설업체와
기술용역회사가 공동으로 참여할수 있는 특례규정에 따른 것이다.
도시쓰레기소각설비공사에 뛰어들 채비를 갖춘 플랜트업체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 한라중공업등 4 5개사 안팎.
반면 건설업체로는 동부건설 동아건설 선경건설 코오롱건설 럭키개발
삼환기업 한양 태영등 국내 굴지의 업체들이 대부분 참여할 태세다.
입찰에 나설 업체들은 외국사와 기술제휴를 이미 끝낸 상태다.
현대중공업이 독일의 밥콕,삼성중공업은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대우조선이
일본의 히타치조선,한라중공업이 덴마크의 볼룬트사와 각각 제휴했다.
건설업체도 마찬가지다. 동부건설은 독일의 스타인뮬러,럭키개발은
스위스의 W&E,한양은 독일의 렌체스,선경건설은 벨기에의 시거스사와
제휴를 마쳤다.
수적으로 따지면 건설업체가 단연 우세다. 조금 다급해진 플랜트업체는
반대논리의 목소리를 높인다.
우선 건설업체가 주계약자로 나서면 국내 기술축적이 어렵다는 주장이다.
현대중공업 플랜트영업부의 홍성전부장은 "도시쓰레기공사실적은 없지만
열병합발전설비등을 제작해온 플랜트업체들이 기술축적에 유리하다"고
밝힌다. 건설업체가 외국설계도면을 받아 설비의 단순하청생산을 하는것은
기술의존도를 높일뿐이라는 설명이다.
또 플랜트업체들은 공사가 끝난후 건설업체들이 성능보장을
할수있겠느냐고 의문을 제기한다.
삼성중공업발전영업부의 김동식부장은 "플랜트공사는 설비제작자가 성능을
보장하는게 통례"라며 건설업체는 도시쓰레기설비공사에서 토목부문은
확실히 하겠지만 설비제작자는 아니라고 말한다.
건설업체의 논리도 분명하다. 먼저 프로젝트 관리능력이 플랜트업체보다
앞선다고 주장한다.
동부건설의 이윤봉차장은 "건설업체는 그동안 국내외 대형공사를 해낸
경험이 있다. 쓰레기소각설비도 대형공사이기때문에 토목 설계 시스템등
다양한 분야를 제대로 관리할수 있다"고 밝힌다.
또 건설업체는 설계도면을 확보,다수의 업체에 맡기면 제작효율을 높일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양의 한 관계자는 "도시쓰레기소각설비는 여러부분을 제작,시스템으로
조합하는 방식이어서 특정플랜트업체의 일관생산방식은 효율이
떨어질것"으로 내다봤다.
성능보장에 대해서도 건설업체는 할말이 있다. 플랜트업체도
도시쓰레기설비공사실적이 없다는 것이다. 양측모두 성능면에서 앞선다고
장담할수 없다는 입장이다.
건설업체는 나름대로 플랜트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있어 앞으로 기술축적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어쨌든 플랜트업체와 건설업체는 한치의 양보없는 싸움을 벌일 태세다.
입찰을 앞두고 듣기에 거슬리는 잡음도 있다. 건설업체에 문호를 넓힌
것은 미국정부 고위관리의 압력이 작용했다는 설이 무성하다.
정부가 지난 4월 제조업경쟁력강화대책을 발표하면서 정부발주공사는
플랜트제조업체의 공동도급으로 시행키로 했었다.
예산회계법특례규정이라도 플랜트업체의 직접 참여가능이라는 큰 골격을
벗어난 턴키방식입찰에 플랜트업체들은 의아해하고 있다.
대부분의 환경공학자들은 소각설비의 주도업체로 플랜트업체가 적합하다는
쪽으로 기울어있는 것같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환경공학과의 구자공박사는 "앞으로
환경산업발전과 기술축적이라는 측면에서 도시쓰레기소각설비공사는
플랜트업체가 주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김호영기자>
건설업체의 주도권 공방이 치열하다.
플랜트업체들은 기술축적을 내세워,건설업체들은 프로젝트관리능력을
앞세우면서 공사주도권을 부각시키고 있다.
도시쓰레기소각설비는 오는 97년까지 2조원이상의 물량이 쏟아질
대형공사. 플랜트업체나 건설업체에 있어서는 놓칠수 없는 기회다.
이번 입찰에서 수주하는 업체가 향후 입지에 결정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양측이 논리공방을 벌이게 된것은 당초 예상됐던 공동도급방식에서
턴키방식으로 입찰방법이 바뀔것이 확실시되어서이다. 건설업체에
입찰문호가 넓혀진 것이다.
서울시는 입찰안에서 건설업체도 기술용역회사및 외국업체와 제휴가능한
회사는 참여할수 있도록 했다. 예산회계법상 대형공사는 건설업체와
기술용역회사가 공동으로 참여할수 있는 특례규정에 따른 것이다.
도시쓰레기소각설비공사에 뛰어들 채비를 갖춘 플랜트업체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 한라중공업등 4 5개사 안팎.
반면 건설업체로는 동부건설 동아건설 선경건설 코오롱건설 럭키개발
삼환기업 한양 태영등 국내 굴지의 업체들이 대부분 참여할 태세다.
입찰에 나설 업체들은 외국사와 기술제휴를 이미 끝낸 상태다.
현대중공업이 독일의 밥콕,삼성중공업은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대우조선이
일본의 히타치조선,한라중공업이 덴마크의 볼룬트사와 각각 제휴했다.
건설업체도 마찬가지다. 동부건설은 독일의 스타인뮬러,럭키개발은
스위스의 W&E,한양은 독일의 렌체스,선경건설은 벨기에의 시거스사와
제휴를 마쳤다.
수적으로 따지면 건설업체가 단연 우세다. 조금 다급해진 플랜트업체는
반대논리의 목소리를 높인다.
우선 건설업체가 주계약자로 나서면 국내 기술축적이 어렵다는 주장이다.
현대중공업 플랜트영업부의 홍성전부장은 "도시쓰레기공사실적은 없지만
열병합발전설비등을 제작해온 플랜트업체들이 기술축적에 유리하다"고
밝힌다. 건설업체가 외국설계도면을 받아 설비의 단순하청생산을 하는것은
기술의존도를 높일뿐이라는 설명이다.
또 플랜트업체들은 공사가 끝난후 건설업체들이 성능보장을
할수있겠느냐고 의문을 제기한다.
삼성중공업발전영업부의 김동식부장은 "플랜트공사는 설비제작자가 성능을
보장하는게 통례"라며 건설업체는 도시쓰레기설비공사에서 토목부문은
확실히 하겠지만 설비제작자는 아니라고 말한다.
건설업체의 논리도 분명하다. 먼저 프로젝트 관리능력이 플랜트업체보다
앞선다고 주장한다.
동부건설의 이윤봉차장은 "건설업체는 그동안 국내외 대형공사를 해낸
경험이 있다. 쓰레기소각설비도 대형공사이기때문에 토목 설계 시스템등
다양한 분야를 제대로 관리할수 있다"고 밝힌다.
또 건설업체는 설계도면을 확보,다수의 업체에 맡기면 제작효율을 높일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양의 한 관계자는 "도시쓰레기소각설비는 여러부분을 제작,시스템으로
조합하는 방식이어서 특정플랜트업체의 일관생산방식은 효율이
떨어질것"으로 내다봤다.
성능보장에 대해서도 건설업체는 할말이 있다. 플랜트업체도
도시쓰레기설비공사실적이 없다는 것이다. 양측모두 성능면에서 앞선다고
장담할수 없다는 입장이다.
건설업체는 나름대로 플랜트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있어 앞으로 기술축적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어쨌든 플랜트업체와 건설업체는 한치의 양보없는 싸움을 벌일 태세다.
입찰을 앞두고 듣기에 거슬리는 잡음도 있다. 건설업체에 문호를 넓힌
것은 미국정부 고위관리의 압력이 작용했다는 설이 무성하다.
정부가 지난 4월 제조업경쟁력강화대책을 발표하면서 정부발주공사는
플랜트제조업체의 공동도급으로 시행키로 했었다.
예산회계법특례규정이라도 플랜트업체의 직접 참여가능이라는 큰 골격을
벗어난 턴키방식입찰에 플랜트업체들은 의아해하고 있다.
대부분의 환경공학자들은 소각설비의 주도업체로 플랜트업체가 적합하다는
쪽으로 기울어있는 것같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환경공학과의 구자공박사는 "앞으로
환경산업발전과 기술축적이라는 측면에서 도시쓰레기소각설비공사는
플랜트업체가 주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김호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