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주 장기보유분의 만기도래대책발표를 계기로 국민주의 향방이 관심을
끌고 있다.
22일 발표된 대책은 만기도래분의 일시적 매물화방지와 외국인의
보유허용을 통한 신규매수세유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증권관계자들은 이번 대책이 국민주의 주가를 상승세로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매물압박 우려를 일부 해소해 추가하락을 막을수 있는 정도에
그칠것이란 설명이다.
우선 외국인의 보유허용은 "당사자인 외국인투자자들의 국민주에 대한
관심이 적어 대량 매수는 기대하기 어렵다"는게 증권사 국제업무
관계자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이들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중소형성장주와 고수익성종목에 집중 투자해온
그동안의 투자패턴으로 볼때 국민주가 이들의 인기를 끌기는
어려울것"이라고 설명했다.
증권전문가들은 "외국인의 국민주취득 허용 검토"사실이 전해진 지난15일
국민주가 일제히 상한가로 돌변했으나 "하루살이"로 끝나버린 사실이
외국인보유허용이란 재료가 큰기대를 모으지 못한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연중최고치에 비해 30%가량씩 떨어진 한전과 포철의 주가가 이날 상승세로
돌아섰으나 오래가지는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전문가들은 이같은 예상의 기본적인 이유로 해당주식이 안고있는
약점을 꼽는다.
상장주식이 6억주가 넘는,"공룡"인 한전주의 경우 내달 22일로 끝나는
장기보유분의 만기도래물량이 7천4백만주에 이르러 이번조치로도
매물압박우려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공공기업이기 때문에 안정성은 뛰어나지만 공금리이상의 높은 수익을
내지 못하게 돼있어 수익성이 주요투자지표로 자리잡은 최근에는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포철주식은 한전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다 "실적악화예상"
때문에 상승세반전기대가 무리라고 보고있다.
주요제품인 핫코일가격은 올들어 5%이상 내렸으나 일본 호주산의 점유율이
높아가는등 철강경기가 부진해 올해 순익목표(1천6백억원)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건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