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연결재무제표제도 조기도입방침에 업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20일 "연결재무제표제도 개선에 대한 업계의견"이라는 건의서를
통해 기업집단재무제표의 도입은 전면 유보되어야 하며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공시 및 외부감사의 의무화시기도 2년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의는 증시육성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는 현행 연결재무제표의 개선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기업집단재무제표의 경우 현재 이론적 근거나 개념
조차 확립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국제회계기준과 달라 국내법인과 해외현지
법인간의 거래노출 및 국제회계 관행 차이로 마찰을 야기할수 있는등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기업입장에서도 기업집단재무제표에 대한 이해가 없고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실무경험도 부족해 이제도를 도입할 경우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함께
감사수수료의 추가부담은 물론 인건비 전산시설의 추가투자비 해외출장비
(현지법인이 있는 경우) 부대비용등 막대한 부담을 안게돼 제조업 수출
업체의 애로를 특히 가중시킬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 현행 연결범위기준이 혼용되면서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오히려 떨어
뜨리고 있어 제도의 보완이 필요할 뿐아니라 아울러 미국의 경우처럼 연결
손익계산에 따른 개별기업의 손실분에 대해 납부세액의 감면도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