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업계는 은행 등 다른 금융권이 금리자유화 1단계 조치를 전후해
고금리 상품을 잇따라 개발함에 따라 주력상품인 노후설계 연금보험의
금리 인상을 검토중이다.
3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보험회사들은 최근 은행 등이
고금리상품을 앞다퉈 판매, 보험계약 이탈현상이 가속화 됨에 따라
새해부터 생보상품 가운데 금리연동형 상품을 대상으로 금리인상을
추진키로 했다.
생보업계는 이에 따라 대표적인 금리연동형 상품으로 전체
수입보험료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노후설계 연금보험의 금리를 현행
정기예금 이자(10%)에 1.5%를 더한 연 11.5%에서 13%선으로 상향 조정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또다른 금리연동형 상품으로 약관대출 금리에서 0.5%를 뺀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는 가정복지보험 금리는 최근 대부분의 생보사가
약관대출 금리를 연 13.7%에서 14%로 조정, 자동적으로 인상효과가 있었던
점을 감안해 이를 올리지 않기로 했다.
생보업계는 최근 최근 잇따라 가진 상품개발 관계자들의 모임에서
노후설계 연금보험의 금리를 이같이 인상하기로 의견을 모으고 내년초에
이를 재무부에 정식으로 건의하기로 했다.
생보업계가 노후설계 연금보험의 금리인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은 이달초에 실시된 정부의 금리자유화 1단계 조치를 전후해 은행
등에서 고금리 상품을 대거 쏟아내 보험계약의 실효해약액이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1백62조2천7백34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2.5%(39조7천8백74억원)나 증가하는등 계약 이탈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전문가들은 "보험계약 이탈을 막기위해 보험상품의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실정이나 보험상품은 가입기간이 대부분 장기인 만큼 만기이전에
다른 금융권이 각종 상품의 금리를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등
위험부담이 크므로 이의 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생명보험회사가 판매하고 있는 노후설계 연금보험의 총 계약액은
지난달말 현재 2백32조3천82억원으로 전체 계약고의 54.1%, 수입보험료는
5조2천6백13억원으로 전체의 46.2%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