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지방버스업계가 요금현실화와 운임의 결손보전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내년 1월1일부터 운행을 전면중단키로 결의해 농어촌지역 대중교통에
비상이 걸렸다.
이는 버스업계가 운전기사의 구득난,운송비용의 급증,교통체증에 따른
운행횟수의 격감등 3중고로 부도 면허반납 경영권양도업체들이 줄을 잇고
있는데 따른것이다.
28일 교통부와 버스업계에 따르면 전국의 79개 군지역운행버스업체들은
최근 모임을 갖고 올 연말까지 요금현실화와 함께 운송원가의 30%를
국고에서 결손보전해줄 것을 요구하며 이건의가 관철되지 않을경우 내년
1월1일부터 운행을 전면 중단키로 결의했다.
이들은 이 결의문에서 그동안 농어촌지역주민들의 교통편익을 도모하는데
힘써 왔으나 연20%의 임금인상과 운전기사구득난등으로 경영이 악화된데다
이농현상으로 승객마저 크게 줄어 대당 연간 6백만원이상의 결손이
발생,자본금잠식은 물론 부도 경영권양도의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는 지난88년부터 수차례에 걸쳐 대책마련을 촉구했으나 버스요금의
현실화도 어려운 실정이고 국가의 보전책도 없는 것으로 보여
농어촌지역주민들의 발을 묶는 운휴조치를 취할수 밖에없다고 밝혔다.
교통부관계자는 군단위지역 버스업체의 면허대수는 전국버스업체의
면허대수 2만6천여대의 10%가량인 2천6백여대에 머물고 있지만 이들이
실력행사에 들어가면 전국의 농어촌지역주민들의 발을 묶게돼 사회문제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더구나 현재 전국의 버스 업체를 가운데 경영난에 봉착,도산위기에 빠지는
기업들이 줄을 잇고 있다는 사실이 보다 더 우려된다고 밝혔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가 조사한 버스업계의 부도 양도업체및
부채현황에 따르면 지난85년이후 올10월말까지 모두 18개사가 2백20억원의
부도를 낸데다 경영난으로 경영권을 넘긴 업체는 76개사에 이르고 있다.
또 경영악화로 면허를 반납한 업체가 54개사,운행이 중단됐던 업체가
27개사등으로 나타났으며 올연말까지 경영부실로 부도나 운행중단이
예상되는 업체가 68개사나 됐다.
특히 조사대상 4백27개사의 부채총액이 8천5백94억원에 이르는데다
버스1대당 부채규모는 2천6백44만원가량으로 나타났다.
버스연합회는 이에따라 최근 버스요금을 시내의 경우 현행 1백70원에서
2백50원으로 47.1%,시외는 당 현행 23원6전에서 34원91전으로
51.4%,고속은 당 현행 17원67전에서 21원42전으로 21.2% 각각 올려줄 것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