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약그룹계열인 고려씨스템산업의 파산결정에따라 단자권의
신용대출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이는등 이에따른 파장이 금융계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대기업그룹의 계열사간 상호지급보증을 통한 여신도 이번사태를
계기로 보다 신중해질수 밖에 없어 정부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호지급보증금지문제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8일 금융계에 따르면 고려씨스템산업의 주채권은행인 신한 산업은행은
이회사부평공장부지(싯가80억원)를 담보로 총56억원을 대출,채권회수에는
별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면서 이를위한 법적 절차에 착수했다.
지난7일현재 신한은 56억원 산은은 2억원의 여신을 갖고있다.
또 고려씨스템어음에 대해 총5백80억원의 지급보증을 서 이를
대지급해야할 한국화약그룹의 주거래은행인 한일은행도 한국화약그룹이
부동산처분 유가증권매각등 자구노력을 통해 대지급금재원을 마련하도록
유도,이번사태로 인한 은행자금지원을 원천봉쇄하기로 했다.
한국화약그룹은 고려씨스템과 동양정밀에 대해 지급보증서준 금액이
총7백3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돼 사실상 7백30억원의 신규자금부담을
안게된셈이다.
고려씨스템의 파산으로 74억원에 달하는 신용대출의 회수가 불투명해진
단자권과 1백20억원의 물대어음을 가진 거래기업들의 향후 거취가 관심을
끌고있다.
단자업계의 여신규모(7월말현재)는 제일 1백47억원 동아 84억5천만원 동양
78억원등 총6백22억6천만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중 신용대출은
74억1천만원에 이르고있다.
단자사관계자들은 고려씨스템의 파산결정에 대해 "한국화약그룹의 결정이
합리적일수는 있으나 기업윤리면에서 어불성설"이라면서 앞으로 단자사들과
한국화약그룹간의 거래관계가 상당히 악화될것임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