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소컨테이너항로의 컨테이너선 부족과 부산항 체선심화, 소련 보스토치니
항 하역지연등으로 정부의 대소경협자금을 활용해 올해 수출될 8억달러
상당의 소비재 물량은 사실상 전량수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최근 소련을 방문하고 돌아온 한국정부대표단이
올해 예정된 대소 소비재 차관을 전량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으나 소련측
수입상과 우리측 상사간의 계약 등의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해운수송에
장애요인이 많아 연말까지 단기간에 수출상품 전량의 선적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한.소간 교역품의 유일한 해상수송 루트인 부산-보스토치니항로에
취항중인 선박이 단 2척으로 수송능력이 주당 20피트짜리 컨테이너 7백
50개에 불과한데다 이 가운데 약 1백50개가 시베리아횡단철도를 통해
유럽으로 나가는 물량이기 때문에 한달에 실어나를 수 있는 대소직교역
물량은 2천여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내달 중순부터 대소 소비재차관 지원이 이루어지더라도
연말까지 실어나 를 수 있는 물량은 최대한 컨테이너 5천-6천개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무역협회는 가전제품을 기준으로 컨테이너 한개당 약 5만달러분의
화물을 실을 수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 이 물량은 2억5천만-3억달러에
해당하는 것이다.
해운업계는 대소 소비재 차관에 가전제품 뿐만 아니라 금액에 비해
부피가 큰 생활필수품 및 철강재까지 포함돼 있어 실제 연말까지 선적이
가능한 물량은 많아야 2억달러 분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소 양국이 추가로 다른 선박을 동원하려 하더라도
적정선박 확보나 적기배선에 통상적으로 1-3개월이 소요돼 연말까지
8억달러분의 대소 소비재차관 전액지원은 시간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밖에 아직 수익성 개념이 없이 운영되고 있는 항만관리 때문에
보스토치니항 의 하역작업이 상당히 지체돼 많은 시일이 걸리며 부산항의
만성적인 체선현상으로 접안과 선적에 걸리는 시일이 많아 올해 예정된
대소 소비재차관 8억달러의 전액집 행에 큰 장애요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