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발행 물량조정 기준이 대기업에 유리하도록 변경돼
중소기업들이 회사채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달중 회사채발행 예정액 1조5백95억원중
1차 조정된 8천9백32억원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3%인
2천9백54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증권사들이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2차 조정분 1천6백63억원
규모가 대부분 대기업의 몫으로 돌아가는 점을 감안하면 중소기업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이보다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과 7월까지만 해도 중소기업은 전체회사채 발행물량 가운데
39%와 36%를 각각 차지했던 것에 비추어 이달부터 중소기업의 회사채
발행이 더욱 어려워진 셈이다.
이는 증권당국이 지난 7월 회사채발행 조정기준을 변경, 8월
발행분부터 대기업의 평점을 1점에서 1.5점으로 높인데다 정부의
첨단산업체 회사채발행 우대방침에 따라 첨단업체로 지정된 기업들이
대부분 대기업들이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한 월간 발행물량을 1조원선에서 제한하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업체의
회사채발행과 제조업체의 차환발행을 조정대상에서 제외하는 특례규정이
신설돼 중소기업들의 회사채 발행물량은 그만큼 줄어들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