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원유가가 평균 5.2% 인상됨에 따라 유가공업계가 시판우유의
가격을 10% 이상 올리고 그에 따라 소비자가격은 20% 가까이 대폭 오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유가공업계 및 대리점들에 대한 가격지도 활동을
대폭 강화, 소비자가격을 7-8% 선에서 강력히 억제할 방침이다.
25일 경제기획원에 따르면 서울.매일.해태.남양.서주.롯데유업 등
유가공업체들은 오는 7월1일부터 원유가격이 kg당 3백64원에서
3백83원으로 인상됨에 따라 포장비, 인건비, 운반비 인상등의 요인을
내세워 시유판매가격을 12-13% 가량 올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유가공업체들이 시유공장도가격을 대폭 인상할 경우
대리점마진과 배달료등을 포함한 실제 소비자가격은 약 20% 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
정부는 이에 따라 올해 물가관리의 어려움을 감안, 시유의
소비자가격을 7-8%이내에서, 도매가격은 3%내외의 수준에서 각각 인상률이
억제될수 있도록 유가공업계에 대해 인상자제를 요구하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원유가격이 유가공업계의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60% 정도인 점을 감안, 원가절감 노력을 통해 다른 인상요인을 최대한
흡수토록 하고 유가공업체에 대한 수입분유의 공급가격을 인하, 시유의
공장도가격 인상을 최대한 낮추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그러나 유가공업체들이 이같은 행정지도를 무시하고 가격을
대폭 올리고 이로 인해 소비자가격도 덩달아 크게 오를 경우 위생 및
시설검사를 실시하고 국세청으로 하여금 유통과정등에 대한 세무조사를
실시, 강력한 제재조치를 펴나가기로 했다.
시유가격은 지난 89년에도 원유가격이 13% 오른데 자극받아
공장도가격은 9%, 소비자가격은 무려 22%나 오른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