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은 금년말까지 1단계로 1백33억원을 들여 기존의 전화망과
별도의 전국적인 데이터전용망을 구축하고 내년부터 데이터전용망접
속번호 157번으로 전국서비스에 들어간다.
이를 위해 한국통신은 올해 서울, 대전, 대구, 광주등 4개도시에
데이터교환용 패킷교환기를 설치하고 부산, 강릉, 제주등 전국 20개지역에
소규모 교환기인 원격 집중장치(P-MUX) 66대를 설치, 전국적인
패킷교환망을 구축키로 했다.
한국통신의 데이터전용망구축은 정보통신사업의 경쟁체제도입에 따른
것으로 이 망이 구축되면 국내 공중정보통신망은 한국데이타통신(주)의
데이콤네트(DNS)와 함께 2원화돼 정보통신서비스가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통신은 1단계 패킷교환망구축을 위해 5월말까지 패킷교환기구매
계약을 체결할 예정인데 현재 미국의 네트릭스(국내제휴업체 금성정보
통신), 나이넥스, 휴즈(KDC), NCR(한국NCR),프랑스의 알카텔(삼성전자),
캐나다의 노던텔레콤(대우통신)등 6개업체가 구매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 한국통신, 데이터전용 패킷교환망 구축 *
한국통신은 1단계 패킷망구축에 이어 92년부터 93년까지 2단계로
4백5억원을 투입, 원격집중장치가 설치된 서울등 19개도시에 패킷교환기
26개시스템을 신설해 패킷교환기설치지역을 22개도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원격집중장치를 전용가입자용으로 전환해 나가는 한편
전화망을 통한 일반 정보통신이용자를 패킷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별도의
통신처리장치를 92년말까지 국내개발, 93년부터 단계적으로 설치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통신은 PC(개인용컴퓨터)통신은 물론 현재 전화망을 통해
시범적으로 제공 되고 있는 전화번호검색, 학습정보, 원격의료.검침등의
자체정보서비스와 KETEL(한경), DIAL-VAN(대우증권), GINS(금성정보통신),
신용카드조회, 사설전자사서함등 외부정보서비스를 내년부터는 패킷망으로
제공하게 된다.
현재 한국데이타통신의 DNS망은 전국 24개도시에 패킷교환기
25개시스템(서울에 2개시스템)을 설치하고 그밖의 22개 접속지점에
PAD(패킷조립분해장치)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패킷교환은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1백28바이트 또는 2백56바이트)로
쪼개 번호를 붙여 보내면 수신처에서 이를 순서대로 조립해 보내주는
교환방식으로 패킷교환망을 이용하면 데이터통신요금이 거리와 무관하게
저렴한 단일요금이 적용된다.
한국통신의 1단계 패킷교환망구축계획은 다음과 같다.
<>패킷교환기설치지역=서울, 대전, 대구, 광주
<>원격집중장치설치지역=서울(44개지역), 인천(2개지역), 수원, 춘천,
강릉, 청주, 천안, 충주, 홍성, 전주(2개지역), 목포, 순천, 제주,
부산(2개지역), 안동, 구미, 진주, 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