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5공특위와 광주특위는 31일 상오 연석회의를 열고 전두환 전대통령을
증인으로 출석시킨 가운데 일해재단 설립배경및 모금경위, 부실기업정리와
관련한 비리여부, 광주사태책임문제등 5공화국 출범과정의 각종사건과 재임중
의 비리및 의혹등에 관해 증언을 들었다.
전전대통령의 이날 증언은 지난 15일의 청와대 영수회담의 합의에 따른 것
으로 우리나라 헌정사상 전직대통령으로 국회에 출석해 증언하기는 처음 있는
일이며 80년대를 마감하는 이날의 전씨 증언으로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5공
청산 문제를 완전히 종결짓게 된다.
전씨는 이날 새벽 지난 1년이상 거처해온 백담사를 출발, 상오9시30분
국회의사당에 도착, 참의원 회의실에서 열린 5공/광주특위 연석회의에 출석
해 증인선서를 한뒤 KBS,MBC TV가 녹화중계하는 가운데 국회 양특위가 이미
발송한 모두 125개항목에 달하는 질문서를 토대로 사항별로 묶어서 답변했다.
전씨는 이날 증언에서 일해재단 설립및 기금조성의혹과 관련 "미얀마
아웅산 참사후 순국한 유가족을 돕고 순국자의 유지를 받들기 위해 경제단체
가 주관, 500억원의 기금조성을 목표로 정하고 대상자를 정하는 한편 모금액
을 할당한 것으로 안다"고 말하고 "기금조성과정에서 특혜를 주거나 보복을
했다거나 정치자금을 조달했다는 의혹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런 일은
있지도 않았으며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전씨는 또 "애초에 순국유가족을 돕기 위해 23억원을 경제인들이 모금한
뒤 재단을 설립하고 그 규모가 확대된 것은 참극의 원인인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앞당기는 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유가족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벌이기
위해서 였으며 본인도 이를 위해 5,000만원을 출연했다"고 밝혔다.
전씨는 국제그룹해체가 부실기업 정리작업의 일환이었다고 증언하고 일해
재단이 퇴임후 영향력 행사를 위한 장소로 설립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단임의지를 실천한 대통령으로서 재직 경험을 연구소를 통해 민간외교
의 차원에서 국가발전에 이바지할 생각이었다"고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