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쓰기위해 버는거란 말이 있다.
벌이보다 씀씀이가 많으면 문제지만 두가지가 동시에 증가한다면
문제될게 없다.
그것은 곧 생활형편과 생활수준의 향상을 의미한다.
또 소득증가를 뒤따르는 소비증가는 자본주의경제를 성장발전시키는
원동력이자 밑거름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소비가 미덕이란 말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분수를 넘는 소비, 소득증가율을 앞지르는 소비증가는 모두
과소비로서 사회적으로 경계해야할 현상이 된다.
그런 현상이 만약 일종의 사회풍조로 번진다면 큰 일이다.
최근 경제기획원이 분석발표한 지난해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계동향은
아직 크게 우려할것까진 없어도 경계해야할 과소비풍조의 일면을 드러내
주목된다.
이 분석은 우선 도시근로자가계가 여전히 상담당한 저축여력이 있음을
말해준다.
월평균 소득이 가구당 65만7,200원으로서 지출(50만3,000원)보다 15만
4,200원 더많다.
이 돈이 결국 저축되고 국가경제차원에서는 투자재원의 일부를 형성한다.
근로자가계수지에 저축여력이 있고 또 그 비율이 25.4%나 된다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이다.
적어도 평균적으로는 도시근로자가계가 아직 건전한 상황에 있음을
말해준다.
이같은 가계저축을 포함한 우리나라 국민저축율은 GNP의 30%를 넘어
미국과 같은 나라의 3-4%수준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또 전술한 소득은 1년전 수준보다 17% 많은 것이다.
명목으로 그렇다.
인플레를 감안한 실질소득증가율은 9.2%로 계산되었다.
지난해 실질경제성장률 12.2%보다는 낮지만 그래도 꽤많이 증가한 셈이다.
문제는 지출증가율과 지출의 구성내용이다.
조세와 기타 이자등을 합친 총지출증가율은 18.3%로서 소득증가율을
앞질렀으며 소비지출내용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식품이외의 지출이 특히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안다.
역시 씀씀이가 헤퍼지는 과소비경향이 엿보이고 또 소비행태가 사치화되는
경향을 말해주고 있다.
가계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점하는 비율, 즉 엥겔지수는 지난 83년을
고비로 과거의 40%대에서 30%대로 내려갔다.
그해의 엥겔지수는 38.7%였다.
그것이 계속 저하되면서 작년에는 34.1%까지 떨어졌다.
그런한판으로 승용차구입등 교통/통신비와 고급가구 및 의류지출비중이
커지고 그 증가율이 20%이상 치고 35.8%를 기록하는등 소비행태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 중 략 ...
도농간/지성간 소득격차가 문제되는 터이지만 정착 도시가구사이의
빈부격차 또한 심각할 것이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도시에서 더욱 현격한 상대적 빈곤감과 위화감을
느끼게되고 그것이 범죄와 사회불안이 도시를 무대로 특히 가중되고 있는
일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인플레기대심리가 팽배하고 효율적인 저축유인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지
않는한 부동산투기를 근절시키수없고 불로소득을 이용한 과소비풍조를
막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가진 사람, 고소득계층의 자제라고 해야겠다.
정부가 제아무리 노력해도 소비자자신이 깨닫고 협력하지 않으면
건전소비풍조는 정착되지 않는다.
소비자들의 의식과 행태에 일대 전환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