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시대…베이비부머, 소비보다 저축

노후대비·자녀상속용 저축 늘어
줄어든 소비, 성장 발목 잡을 수도
베이비부머(1946~1964년 출생)가 은퇴 이후에도 지갑을 열지 않아 글로벌 경제 성장에 둔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들이 자녀 상속, 장수 리스크 등을 이유로 소비보다 저축을 더 늘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2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전 세계 2억7000만 명가량인 베이비부머의 소비 성향이 2020~2030년대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금리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강력한 경제 성장기를 겪으면서 부를 축적했다. 미국 인구의 약 20%인 베이비부머의 순자산은 미국 전체 52%인 76조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코노미스트는 당초 예상과 달리 베이비붐 세대가 소비하지 않고 기존 재산을 보존하거나 더 축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학의 ‘생애주기 가설’에서는 베이비부머들이 은퇴하면 금리와 인플레이션율이 올라갈 것으로 본다. 근로자가 줄면서 고임금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부의 축적 대신 소비로 전환하면서 저축이 줄어들어 기준금리가 상승할 것이란 논리에서다.

하지만 최근 조사에서 베이비부머의 소비는 둔화되고 있다. 경제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2019년 일본 노인들은 1년에 순자산의 1~3%만 소비했다. 2022년 기준 미국 은퇴 가구의 51%가 저축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캐나다와 한국, 독일 등의 노년층 저축률도 증가하는 추세다. 독일에서도 은퇴자의 저축률이 2017년 17%에서 2022년 22%로 높아졌다. 이코노미스트는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 후 과시적 소비가 아니라 저축하는 데 더 집중한다”고 설명했다.이코노미스트는 베이비부머가 돈 쓰기를 꺼리는 이유로 자녀 상속과 장수에 따른 노후비 부담을 꼽았다. 미국과 유럽에선 국내총생산(GDP) 대비 상속액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베이비부머들엔 장수도 부담 요인이다. 인생의 3분의 1을 은퇴 후 시간으로 보내며 의료비, 간병비 등으로 재정 압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