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구조 동물 상습 폭행" 동물권행동 카라 노조 폭로

3대 동물권단체서 동물 상습 폭언·폭행
이뤄졌다는 내부 폭로 나와 파장 예고
노조 "대표가 폭행 직원 국장으로 승진시켜"
대표 "내부 조사 통해 재발 방지책 마련"
동물권행동 카라 노조 측은 구조견 폭행을 폭로했다. 노조 측은 A씨 폭행에 따른 두려움으로 구조견들이 책상 밑에 숨었다고 주장했다. /사진=동물권행동 카라 노조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 보호 센터에서 수년간 구조 동물에 대한 폭언과 폭행이 이어져 왔다는 내부 폭로가 나왔다. 국내 3대 동물권 단체로 꼽히는 곳에서 이러한 폭로가 나오면서 관련 업계에 파장이 예상된다. 사측은 추후 조사를 통해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카라 노동조합 측은 27일 '10년간 이어진 구조 동물 상습 폭행 방치해온 동물권행동 카라'라는 제하의 성명을 통해 "구조한 동물의 보호와 입양을 총괄하고 있는 국장 A씨의 동물에 대한 폭언과 폭행은 단체 내부 직원들은 물론 봉사자들까지 알고 있을 정도로 오랫동안 공공연한 사실"이라고 밝혔다.노조 측은 A씨에 의해 폭행당한 동물의 수는 2015년부터 최소 40여마리에 이른다고 추산하고 있다. 노조 측은 "A씨는 지난 2018년 상습 동물 폭행 사안으로 징계를 받았으나, 팀장 직위 해제 경징계에 그쳤고 그의 폭력적 동물 관리 문제는 방치됐다"며 "이후 전진경 대표는 객관적 인사평가를 거치지 않고 본인이 가진 인사권을 이용해, 동물 폭행 전력이 있는 A씨를 카라 동물 보호 센터를 관리하는 '동물복지그룹 국장'으로 승진시켰다"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A씨는 동물을 때리는 이유로 '무는 개가 어떻게 입양을 가겠냐, 때려서라도 고쳐야 한다'고 주장하며, 심지어 '왜 나만 동물을 때리냐, 나만 나쁜 사람 되는 거 같지 않냐'며 팀원들까지 폭행에 동참하도록 종용했다"고 했다.

이어 "A씨는 구조 동물이 자신을 향해 짖기만 해도 고함을 치며 동물을 벽이나 책상 아래 등으로 몰아넣고, 빗자루, 슬리퍼, 신문지를 말아 만든 막대기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폭행했으며, 맞고 있던 동물이 흥분하면 '반성하는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며 이후 더 강한 강도로 폭행을 이어갔다"고 부연했다.그러면서 "이런 폭력 상황은 다른 동물들이 모두 지켜보는 데서 발생했으며 고함과 폭행을 간접 경험한 다른 동물들은 구석에 몸을 숨기고 온몸을 떨거나 제자리를 도는 등 폭행당한 동물 못지않게 극도의 스트레스 반응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노조 측은 "동물을 상습 폭행한 A씨는 물론 이러한 A씨에게 동물 관리 전반에 전폭적인 권한을 부여한 전진경 대표 모두 이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동물권 단체로서 후원 회원들에게 사죄하고 책임자들이 사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회사와 견해차가 있어 스트레스를 받으면서도 버틴 이유는 단 하나 동물들 때문이었다"면서 "절대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일"이라고 규탄했다.이번 논란과 관련해 한경닷컴은 A씨에게 연락을 취했으나 닿지 않았다. 전 대표는 A씨 과거 징계에 대해 인정하면서 "내부 조사를 토대로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A씨의 동물 폭행 문제에 대해선 "A씨가 폭력적으로 개를 계속 다룬다는 이의 제기가 내부에서 있었으면 조치를 했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그런 게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들끼리 싸우거나 활동가들이 물리는 사고가 발생해 병원에 간 적이 많다"면서 "구조견들은 교정이 되지 않으면 입양을 못 간다. 그러한 차원에서 훈육 과정에서 다소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이런 식의 문제 제기는 인권 침해"라고 지적했다.

한편 카라는 최근 사측과 노조가 대립각을 세우며 논란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노동조합이 없던 카라에 노조를 만들자 전 대표가 억지스러운 이유를 들어 노조 간부급인 활동가 둘에게 징계를 내렸다면서 전 대표를 상대로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했다. 노조 측은 정 대표가 단체를 사유화했다고 주장하면서 시민단체 최초 파업을 예고하는 국회 기자회견을 이달 초 연 바 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