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구'에 강경한 오세훈 "소비자 보호는 책무"

민간과 안전검사 협력
서울시가 알리, 테무 등 해외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직접 구매(해외직구) 상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민간 조사기관들과 손을 잡았다. 최근 해외직구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연일 ‘공공 역할’을 강조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이번 협력은 그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시는 24일 시청에서 국가기술표준원 안전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FITI시험연구원, KATRI시험연구원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오 시장은 이 자리에서 “소비자의 선택권은 충분히 보장돼야 하지만 그 과정에서 숨어 있는 위험으로부터 시민의 안전한 삶을 지켜내는 것은 시의 책무”라고 말했다. 소비자의 선택을 강조하며 정부의 해외직구 금지 시도를 비판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유승민 전 의원 등 여권 중진과 각을 세우는 모습이다.

서울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민관 협력 검사 체계를 공고히 구축해 유해한 상품의 해외직구를 철저히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해외직구 물품의 안전성 검사 비용을 시와 검사기관이 50%씩 부담해 더 폭넓은 품목에 대해 검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산하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전문 인력 10명을 배치하는 등 검사 인력도 보강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하고, 매주 품목을 선정해 안전성 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다음달에는 어린이 제품은 물론 시민 생활과 밀접한 식품 용기, 위생용품, 화장품 등의 안전성 검사를 한다. 7~8월에는 물놀이 용품, 우산, 선글라스 등 계절별 수요가 급증하는 제품을 검사할 예정이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