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中EV 조사 보복조치로 수입차 관세 25% 부과 추진

2.5리터 이상 엔진 대형수입차,벤츠와 BMW 최대 영향
EU, 시진핑 방문후에도 중국 EV수출 급증에 강경 입장
사진=AP
중국은 미국과 유럽연합(EU)과의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보복조치로 대형 수입차에 대해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알려졌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EU 주재 중국 상공회의소는 "내부자"로부터 2.5리터 이상 엔진을 장착한 대형 수입차에 대한 중국의 관세 인상 움직임에 대해 통보받았다고 X에 게시된 성명에서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주로 유럽의 고급차 업체에 영향을 미치고 EU와의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이 성명은 덧붙였다. 현재 중국산 수입차에 대한 관세는 15%이다. 중국이 대형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는 독일의 메르세데스벤츠 그룹과 BMW이다. 이 두 회사 주식은 오전 프랑크푸르트 증시에서 2% 이상 하락했다.

중국 정부가 수입차에 대한 보복 관세를 추진중인 것은 EU가 지난 9월부터 시작한 중국의 자국산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조사 결과의 발표 시한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유라시아 그룹에 따르면, EU는 6월 초까지 관세 부과 여부를 중국 수출업체에 알려야 하며 발효는 한 달 후에 될 수 있다.

EV가 지난해 중국산 EV에 대해 보조금 조사를 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EU와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이 고조됐으며 이 달 시진핑 주석의 유럽 방문도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유라시아 그룹의 분석가들은 화요일 메모에서 “중국의 무역 보복 조치 경고가 EU에 별 영향을 주지 못했다” 며 “브뤼셀은 EV 조사를 통해 중국의 보조금과 과잉 생산에 대응할 것이라는 신호를 중국에 보내길 원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중국 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는 중국 자동차기술연구센터의 수석 전문가 류빈이 2.5리터 이상의 엔진을 장착한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을 인상할 것을 촉구한 인터뷰를 게재했으며 중국 상공회의소는 이 내용을 언급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2.5리터 이상의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 25만대를 수입했으며 세계무역기구(WTO)규정으로 허용된 최대 25%의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그는 언급했다. 중국에 수입된 외국차는 대부분 럭셔리 부문에 속하며 지난해 상위 10개 브랜드에는 포르쉐, 아우디, 레인지로버가 포함된다. 25%의 관세는 메르세데스의 GLE SUV, S클래스 세단, 포르쉐의 카이엔 SUV등에 적용될 전망이다.

도요타의 렉서스 브랜드는 지난해 중국의 전체 수입차 판매량가운데 5분의 1이 넘는 18만대를 팔며 수입순위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이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 일본 기업은 EU와 미국과의 무역 분쟁에서 부수적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중국은 자동차 이외에도 최근 유럽산 와인과 유제품에 대해서도 보복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시사했으며 유럽산 브랜디 수출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중국의 수출에 대한 전 세계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특히 중국내 과잉경쟁에 따른 전기차의 수출에 관심이 쏠린다. 중국은 세계 어느 곳보다도 많은 전기차를 생산하며 배터리 공급망의 대부분을 통제하고 있다. 가격 전쟁과 국내 경제 둔화로 중국의 자동차 업체들은 해외 수출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난해 수출한 전기차는 155만대로 그중 약 40%가 유럽에 수출됐다.

이달 초 바이든 행정부도 미국에 중국산 전기차가 전혀 수입되지 않고 있음에도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행 25%에서 100% 로 올린다는 조치를 발표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일 베이징의 정례브리핑에서 유럽과의 자동차 분쟁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 "이 문제는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