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분담금 늘어나는데…'기·승·전·사업성'이 최대 관건

건설업계도 기대감
수도권 1기 신도시 ‘1호 재건축’ 타이틀을 거머쥘 단지의 윤곽이 오는 11월에 나온다. 공사비 급등, 경기 침체 등이 겹친 상황에서 사업성을 얼마나 확보하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경기 성남시 등 1기 신도시 지방자치단체는 특별정비구역(안)과 선도지구 선정 기준, 동의서 양식, 동의서 징구 방식 등의 공모 지침을 다음달 25일 공고할 예정이다. 이후 9월 제안서 접수 후 평가와 협의 등을 거쳐 11월 선도지구를 최종 선정한다.신도시별 기본계획은 8월에 수립해 12월 완료할 방침이다. 내년엔 특별정비구역 지정을 마치고, 2026년엔 사업시행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2027년 착공 후 2030년 입주가 목표다. 선도지구로 뽑히지 못한 단지도 내년부터 2033년까지 10년에 걸쳐 매년 일정 물량을 선정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장 여건에 따라 선정 물량을 유연하게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도권 핵심 입지에서 수만 가구의 정비사업 물량이 나오는 만큼 건설업계의 기대도 커지고 있다. 시공권을 따내기 위한 건설사의 수주 경쟁도 달아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조합원의 추가 분담금이 늘고, 초과이익환수제까지 있어 재건축이 삐걱거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과도한 공공기여 수준이 사업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 시중 자금과 관심이 1기 신도시로 몰려 수도권 외곽과 지방 재건축 사업 동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성패는 기승전 ‘사업성’”이라며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더 심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사업 추진 속도가 신도시 부촌을 중심으로 두드러질 여지가 크다”고 내다봤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