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공의들, 의료현장 복귀해야…복귀 전공의 불이익 최소화"

내일 군의관 120명 신규 투입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와 의료진이 오가고 있다./사진=뉴스1
정부가 전공의들의 의료현장 복귀를 촉구하면서도 먼저 복귀 의사를 밝혀야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2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이탈 전공의들에게 "소모적인 갈등과 집단행동을 멈추고 조건 없이 대화의 자리로 나와달라"며 "정부는 형식과 논제에 구애 없이 언제든지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이어 "전공의 여러분들이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는 상황에서는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할 수 없다"며 "복귀를 희망하는 전공의들의 불이익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필요한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빅 치관은 '증원 정책을 중지하고 재논의해야 전공의 다수가 돌아간다'는 내용의 전공의 인터뷰 기사를 언급하면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대정원 원점 재검토' 같은 비현실적인 조건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환자를 생각할 때 마음이 무겁다면 한시라도 빨리 복귀하기 바란다"며 "그것이 환자와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이라고 덧붙였다.박 차관은 전공의들의 복귀를 독려하기 위한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에 대상 병원의 절반 가까이가 참여 신청을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17일 참여 병원을 모집한 결과 신청 조건을 충족하는 96개 수련병원 중 46%인 44곳이 신청했다.

시범사업은 전공의 연속근무 시간을 36시간에서 24∼30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으로 대상 기관을 확정해 다음 주부터 본격 시행한다.정부는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23일부터 4주간 군의관 120명을 신규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중증·응급 환자 수술을 담당하는 수도권 주요 상급종합병원에 66명을 투입하고 권역응급의료센터에 30명, 지역별 주요 종합병원·공공의료기관에 24명을 배치한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