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동남아 사업, 네이버 주도 힘들어지나

라인야후 "우리가 해외 총괄"
日 사업 포기 시 차선책 먹구름
라인야후가 동남아시아 사업을 담당하는 라인플러스(라인야후의 한국 법인)를 네이버에 떼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업계에서는 일본 라인은 소프트뱅크, 동남아 라인플러스는 네이버가 가지고 가는 결별 시나리오가 현실화하기 어려워졌다는 반응이 나온다.

라인야후 측은 22일 “네이버와 라인플러스 간에는 직접적인 자본 관계나 인적 관계가 없다”며 “라인플러스는 앞으로도 라인야후 산하 기업으로서 대만 태국 등 해외 사업을 총괄할 것”이라고 밝혔다.라인야후는 향후 협상 과정에서 사업 분할이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현시점에서 그럴 예정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네이버에 대한 업무 위탁을 종료하기로 했지만, 라인플러스는 라인야후의 자회사인 만큼 업무 위탁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라인플러스는 라인의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2013년 한국에서 설립됐다. 네이버의 일본 외 글로벌 사업 개발과 확장을 맡고 있다. 하지만 네이버 임의대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는 아니다. 라인플러스는 라인야후 자회사인 Z중간글로벌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인야후에서 네이버의 영향력이 약해질수록 Z중간글로벌 휘하의 네이버 동남아 사업에도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네이버도 라인플러스에 대한 주도권까지 잃는 것은 원하지 않는 분위기로 알려졌다. 라인플러스는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제공하는 메신저, 스티커, 게임 등 서비스 외에 지역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라인플러스를 비롯해 라인 관련 한국 법인 직원은 약 2500명이다.네이버 측은 이날 라인야후 입장과 관련해 말을 아꼈다. 네이버 관계자는 “회사에 가장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고 소프트뱅크와 성실히 협의한다는 기존 방침에서 바뀐 것은 없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일본 정부의 요구를 계기로 이달 초부터 라인야후 공동 대주주인 소프트뱅크와 지분 협상을 하고 있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50%씩 출자한 합작 조인트벤처 A홀딩스가 지분 64.4%를 보유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네이버로부터 A홀딩스 지분을 1%라도 사들이면 라인야후의 경영 주도권을 쥐게 된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