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구성 줄다리기 시작…추경호 "운영위원장, 여당이 맡아야"

운영위·법사위 독식하려는 민주당
22대 국회도 '지각 개원' 가능성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여야가 22대 국회 원(院) 구성 협상을 시작한 가운데,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 운영위원장은 집권 여당 원내대표가 맡아야 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정 운영을 책임 있게 하기 위해 국회 운영위원장은 여당이 맡는 게 사회적 통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극히 당연한 생각이라 과거 이런 취지의 말씀을 하신 민주당 의원들이 다수 계시다"며 "그런데 현재 민주당은 다수당 지위로 원 구성을 독식하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추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국회의장뿐 아니라 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까지 민주당 몫으로 하겠다는 입장을 연일 쏟아낸다"며 "역대 원 구성은 여야 견제와 균형을 이뤄왔던 것이 국회 전례였고 역사적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13대 국회부터 운영위원장은 집권당이 맡아왔고, 노무현 정부 열린우리당 집권기인 2004년 17대 국회부터 제1당이 국회의장, 제2당이 법사위원장을 맡아 양당 간 견제와 균형으로 입법부를 이끌었다"고 부연했다.그는 "진정한 민주주의는 일방통행이 아닌 여야 타협과 상생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다수가 소수를 오로지 힘으로 제압하려는 것은 민주주의 정신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22대 국회 원 구성이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견제와 균형, 대화와 타협, 국회 운영 원리를 지키는 원 구성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압도적 다수 의석을 지렛대로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 위원장직을 모두 맡겠다고 엄포를 놓은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국회 관례에 따라 두 위원장직을 사수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국회법에 따르면, 개원 직후 열리는 임시국회 첫 본회의에서 국회의장단을 선출한 뒤 3일 안에 상임위원장이 선출돼야 한다. 22대 국회 첫 본회의는 다음 달 5일 열린다. 다만, 원 구성 협상이 늦어지면서 '지각 개원'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우원식 민주당 의원은 원 구성을 위한 협상 시한으로 '6월'을 제시했다. 그는 "합의가 안 된다면 국회법 절차대로 국회를 빠른 속도로 개원해 국민을 위해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국회의장이 해야 할 일"이라며 원 구성 협상에서 적극적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