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현 사장 대신 전영현 부회장…'경험'으로 삼성 반도체 위기 돌파 [종합]

전영현 부회장, 삼성전자 DS부문장 선임
경계현 사장은 자리 맞바꿔 미래먹거리 발굴
"지난해 반도체 실적 악화 반영 인사" 관측도
사진=뉴스1
삼성전자가 반도체 수장을 '전격 교체'했다. 기존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경계현 사장이 물러난 자리에 전영현 부회장(사진)을 선임했다. 지난해 실적 부진 등 반도체 위기론이 커지자 경험 많은 노장의 전면 복귀로 위기를 타개하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21일 미래사업기획단장인 전 부회장을 DS부문장으로 선임하면서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을 극복하고 미래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선제적 인사 조치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선제적 인사"라고 했지만, 업계에선 지난해 반도체 실적 악화를 비롯해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수요가 커지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에서 경쟁사들에 다소 밀리는 형국의 '위기론'이 반영된 인사로 해석한다.전 부회장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를 이끌어온 주역으로 평가된다.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해 D램·낸드플래시 개발과 전략 마케팅 업무를 담당했다. 2014년부터는 메모리 사업부장을 역임한 뒤 2017년 삼성SDI 대표이사로 자리를 옮겼다. 올해 들어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을 맡아 삼성전자와 관계사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역할을 맡았는데, 이번에 DS부문장으로 전격 선임된 것이다.

삼성전자는 "전 부회장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킨 주역으로 그간 축적된 풍부한 경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도체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삼성 제공
경 사장은 스스로 DS부문장을 내려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물러났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 부회장이 맡았던 미래사업기획단장에 위촉, 자리를 맞바꿨다. 삼성전자는 내년 정기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전 부회장의 사내이사·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DS 부문은 반도체 업황 악화 직격탄을 맞아 지난해 내내 적자를 기록했다. 연간 14조88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낸 뒤 올 1분기에야 흑자 전환(영업이익 1조9100억원)하며 반등했다.

지난해 실적 악화 여파가 이번 인사에 반영된 측면도 있다는 반응이다. 전 부회장은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해 메모리사업부장 등 관련 요직을 거치며 잔뼈가 굵은 만큼 반도체 사업의 불확실성을 털어내고 돌파구를 마련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 하에서 대내외 분위기를 일신해 반도체의 미래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부연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