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민희진 대화록 공개…'공정위 조사 하든 말든 안물안궁'

사진=뉴스1
하이브가 민희진 대표 측이 변론 자료로 공개한 하이브로 보내온 2차 메일 상세 답변을 공개했다.

17일 하이브는 "하이브는 밀어내기를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하이브는 "오늘 민희진 대표 측은 변론 자료에 4월 16일 하이브로 보내온 2차 메일을 공개했다. 해당 메일에 대해 하이브는 정확한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아래 붙임과 같은 상세한 답변을 4월 22일에 보냈다. 하이브는 밀어내기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 등이 포함된 답변"이라며 "민희진 대표 측이 공개한 증거자료는 사전에 포섭한 조력자로부터 얻은 내용이거나 원하는 답변을 유도하여 확보한 것임을 감사 결과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당사는 이 같은 밀어내기 이슈를 제기하는 것 자체가 경영권 탈취를 위한 실행 계획의 하나로 진행된 일임을 민희진 대표와 L 부대표 간의 대화록에서 확인했다. 당사가 오늘 법정에서 밝힌 것처럼 '밀어내기 증거자료 수집+여론전 준비', '공정위가 조사를 하든말든 안물안궁(안 물어봤고 안 궁금하다)', '우리에게 헤드라인만 나오면 돼'와 같은 대화가 있었음을 알려드린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4월 16일 질의서는 뉴진스와도 무관하고 사실도 아닌 하이브 경영 관련 의혹을 제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행동은 뉴진스를 위하는 것처럼 포장했지만 실제로는 민 대표의 숨은 의도나 동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하이브는 민 대표의 주장과 관련해 "하이브는 소위 ‘음반 밀어내기’를 하지 않는다", "레이블 운영의 고도화에 따라 이미 어도어도 큰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어 "민 대표는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르세라핌, 투어스, 아일릿, 아이브, 라이즈 등 사내외를 가리지 않고 여러 아티스트의 앨범 판매량이 발표되고 나면 '밀어내기나 사재기하는 거 아니냐'는 식으로 다른 아티스트들의 음반 판매량에 대한 근거 없는 의혹을 끊임없이 제기해 왔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 대표는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하이브로부터 ‘뉴진스가 밀어내기 제안을 권유받았다’고까지 주장하고 있다"며 "이는 격의없이 이루어진 대화의 일부이었을 뿐이며,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공식적으로 ‘밀어내기’는 없다고 수차례 설명드렸고 실제 하이브는 ‘초동 기록 경쟁을 위한 밀어내기를 하지 않는다’ 라는 명확한 원칙을 갖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아울러 "민 대표는 최근 '라이즈도, 투어스도, 아일릿도 전부 뉴진스를 카피하고 있다'는 발언을 서슴없이 해왔다"면서 "정말 어도어는 뉴진스 이후 데뷔한 신인들이 모두 뉴진스의 아류작이라고 생각하는 것인가. 또한 민 대표는 하이브에 합류한 뒤 주변에 BTS도 자신을 베껴서 만든 팀이라는 발언을 수차례 했다. 정녕 그게 사실이라고 믿고, 여전히 그런 믿음에 변함이 없는지 궁금하다"고 반문했다.
사진=뉴스1
이날 오전 법원에서는 민 대표가 하이브를 상대로 제기한 의결권행사금지 가처분 소송 심문기일이 진행됐다.

하이브 측 법률대리인은 "민 대표가 엄마와 같은 심정이라고 하지만 오로지 뉴진스가 벌어오는 돈에만 관심이 있다"면서 "측근들에게 뉴진스에 대해 '아티스트로 뉴진스를 대우해 주는 게 어렵고 뒷바라지하는 게 끔찍하다', '역겹지만 참고 있다' 등 뉴진스 멤버들 비하했다"고 주장했다.대표이사 결격 사유로 무속 경영, 여성 구성원 비하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하이브 측은 "(민 대표가) 무속인에게 지나치게 의지한다"면서 "직원을 뽑을때도 무속인에게 채용 여부를 물었다. 무속인은 급기야 직원 채용을 부탁하고 특정인의 이력서를 보내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민 대표 측은 '뉴진스 베끼기', '음반 밀어내기 관행' 등 내부고발 메일을 발송하자 하이브가 돌연 '경영권 탈취 의혹'을 제기하며 무리한 감사로 맞대응했다고 반박했다.

민 대표 측 법률대리인은 "내부고발 메일 전송이 하이브와 어도어 사이의 신뢰를 훼손해 기업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개인 행위라고 주장하는데, 어도어 대표이사로서 유일한 소속 아티스트인 뉴진스를 방치하는 게 배임이지 이를 시정하려는 게 배임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도어 대표로서 선관주의를 충실하게 이행했다. 다 합당한 이의제기였다"고 덧붙였다.이처럼 양측 간 이견 대립은 극에 치닫는 형국이며 하이브는 앞서 16일 민 대표를 향해 "외부에 입장 발표 시 '어도어 측'이라는 표현을 쓰지 말라"며 "이번 경영권 탈취는 어도어라는 회사와 무관한, 민 대표 개인의 욕심에서 비롯된 일에 일부 경영진이 동참한, '민희진 측'이 일으킨 사건이다"라고 일축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