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에 관세 때리자…ESS·석유화학주 뜬다

중국산 배터리에 고율 관세 부과
LG엔솔 등 ESS산업 반사익
SK이터닉스·LS일렉트릭도 강세

중국산 수술장갑도 관세 인상
금호석유·LG화학에 호재
태양광은 수혜 여부 지켜봐야
미국이 전기차·배터리를 비롯한 중국 제품의 관세율을 대폭 높이기로 결정하자 투자자들이 수혜주 찾기에 분주하다. 증권가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ESS), 2차전지, 자동차 업종 등을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美·中 무역 전쟁, ‘어부지리’ 종목 찾기

16일 SK그룹의 ESS 관련 계열사인 SK이터닉스는 11.06% 뛴 2만4600원에 마감했다. 지난 14일 상한가를 기록한 데 이어 이날도 급등세를 이어갔다. ESS 및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또 다른 업체인 LS일렉트릭 역시 이날 15.6% 올랐다.

14일 미국 정부가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응하기 위해 배터리를 비롯한 중국산 제품에 매기는 관세를 인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안으로 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부품은 7.5%에서 25%로 관세율이 오른다. 전기차는 기존 25%에서 100%로 4배 뛴다. 태양광 셀은 기존 25%에서 50%로 상승한다.

주사바늘·의료장갑 등 의료장비는 기존 0~7.5% 수준이었으나 품목별로 25~50%로 높아진다.전문가들은 미국이 중국의 전기차·배터리 사업을 압박함에 따라 국내 2차전지·ESS 관련 종목들이 가장 큰 반사 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배터리 수입액 185억4800만달러 중 중국산이 135억6600만달러로 전체의 약 71%를 차지했다. 업계에서는 중국산 배터리가 전기차가 아니라 ESS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시설에 투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배터리 수입액 가운데 81%가량이 ESS용 배터리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관세가 오르면 ESS용 배터리 공장을 신설 중인 LG에너지솔루션과 같은 기업은 장기적으로 수혜를 볼 것”이라고 했다.

2차전지 관련 소재·부품주 일부도 주가가 들썩였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이날 8.54% 뛴 4만9550원에 마감했다. 이 회사는 2차전지용 동박 부문에서 중국 업체와 경쟁 관계에 있다.전문가들은 의료장비 관련 관세로 인해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도 간접 수혜를 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은 수술용 장갑의 원료인 ‘NB라텍스’의 70~80%가량을 말레이시아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수술 장갑에 관세를 대폭 부과하면서 말레이시아산 장갑 수출이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NB라텍스의 경우 금호석유화학과 LG화학이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 관세 정책 발표 후 말레이시아 장갑 업체들 주가는 52주 신고가를 돌파했다”며 “국내 최대 수혜 업체로는 금호석유화학이 꼽힌다”고 했다.

국내 자동차 업종도 장기적으로는 관세 정책 수혜주라는 평가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저가 전기차 수출이 원천 봉쇄되면서 미국 시장 비중이 높은 현대차·기아가 장기적으로 혜택을 볼 것”이라고 했다.

○“정책 실질적 영향 고려해 투자해야”

일각에서는 관세 정책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따져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대표적인 분야가 태양광이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태양광 모듈 관세율을 높이기로 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 업체들이 동남아시아 국가 등을 통해 미국으로 우회 수출한 물량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회 물량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가 국내 업체들의 수혜 여부를 가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윤 연구원은 “동남아를 우회한 중국 태양광 모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면 파장이 커질 수 있다”며 “다만 미국 태양광 모듈 재고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관세 부과 이후 곧바로 국내 업체들의 수혜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