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0억 투자했다"…배기가스의 놀라운 변신 [최형창의 中企 인사이드]

한일현대시멘트 영월공장 탐방
에코설비 통해 자체 전력량 30% 충당
발암물질 친환경 처리로 '비료' 재활용
한일현대시멘트 영월공장 내부 에코발전설비. 한일현대시멘트 제공
지난 16일 강원도 영월 한일현대시멘트 공장. 후문 근처에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한 대가 시멘트 생산 공정에서 나온 염소더스트를 8~9톤씩 담아 수세 설비로 옮기고 있었다. 염소더스트는 시멘트 소성 공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 발암물질로 분류돼 매립해 폐기해왔던 이 부산물을 한일현대시멘트 영월공장에서는 이달부터 ‘친환경’ 처리할 수 있도록 설비를 마련했다. 소성 공정에서 포집한 염소더스트를 BCT 트럭에 싣고, 원통형 창고에 넣은 뒤 물로 씻어 화학처리하면 염화칼륨으로 바뀐다. 염화칼륨은 비료로 재활용된다. 시멘트 업계에 화두로 떠오른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현장에서는 설비를 하나씩 바꿔가면서 친환경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1958년 현대건설 시멘트사업부로 출발한 한일현대시멘트는 2017년 한일시멘트 계열로 편입됐고, 지난해 매출 5047억원, 영업이익 480억원을 거두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992년 준공된 한일현대시멘트 영월공장은 국내 시멘트 설비 중 가장 젊다. 총 2기의 소성로를 갖춰 매년 400만톤의 시멘트를 생산하고 있다.염소더스트 친환경 처리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설비도 갖췄다. 지난달에는 약 1050억원을 투자해 에코발전 설비를 지었다. 이 설비에서는 소성공정 때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를 보일러로 보내 증기를 만들면, 증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박진규 한일현대시멘트 영월공장장은 “영월공장 에코발전설비는 연간 약 14만 ㎿h의 전기 생산이 가능하고, 이는 공장 전기 사용량 30%에 해당하는 전력량”이라고 말했다.
한일현대시멘트 영월공장 전경. 한일현대시멘트 제공
영월공장은 그동안 탄소 절감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미세먼지 원인이 되는 질소산화물이 소성과정에 발생하는데 이를 저감시키는 장치인 선택적 비촉매 환원(SNCR)을 최근 개조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는 요소수를 분사해 질소산화물과 결합시켜 무해한 물질로 변환하는 원리의 장치다. 8㎞에 달하는 석회석 이송로와 순환자원 이동로 모두 밀폐형으로 지어져 비산먼지를 차단하고 있다. 또, 200억원을 투자해 마련한 전기 집진기와 백필터는 분쇄설비 및 소성설비에 설치돼 비산먼지 확산 방지 역할을 하고 있다. 박 공장장은 “건자재 수요 감소 등 시멘트 업계가 처한 상황이 녹록지 않지만, 탄소중립은 더 이상 투자를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흔들림 없이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영월=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