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원내대표 박찬대 "尹 거부 법안 모두 재발의"

민주, 강경 對與 투쟁 예고

'찐명' 원내대표 사실상 추대
상임위 독식 의지도 다시 강조
"머뭇거리다 실기하지 않겠다"

李, 당선자들에 "당론 반대말라"
사실상 '친명 단일대오' 강조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 첫 번째)가 3일 민주당 당선자 총회에서 원내대표로 선출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박 원내대표, 홍익표 전 원내대표, 이재명 대표. /강은구 기자
3선의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대 국회에서 171석을 확보한 거대 야당의 원내사령탑으로 3일 선출됐다. 강성 친명(친이재명)계인 박 의원이 원내 지휘봉을 잡으면서 민주당의 입법 폭주가 22대 국회에서도 계속될 전망이다. 박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9개 법안의 재발의를 밀어붙이겠다고 공언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당선자 총회에서 신임 원내대표로 선출됐다. 선거엔 박 후보가 단독으로 입후보했다. 앞서 후보로 거론되던 박주민, 서영교, 김민석, 한병도 의원 등이 줄줄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친명계 내에서 교통정리가 이뤄졌다. 열린우리당 시절인 2005년 정세균 원내대표 이후 첫 단독 후보 선출 사례다. 박 의원은 원내수석부대표로 박성준·김용민 의원을 임명했다.‘찐명’으로 불리는 박찬대 의원은 공인회계사로 근무하다 20대 국회에서 처음 배지를 달았다. 2022년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 캠프의 수석대변인으로 활동했고, 이 대표가 당대표 선거에 출마하자 ‘러닝메이트’를 자처하며 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원내대표 출마 선언 때부터 이 대표와의 ‘투톱’ 체제를 강조하면서 강경 대여 투쟁을 예고해왔다.

박 의원은 이날 정견 발표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한 법안들을 개원 즉시 재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양곡관리법을 시작으로 간호법,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9개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박 의원은 또 여당이 반대하고 있는 민생회복지원금과 관련한 추경 협상도 시작하겠다고 했다.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모두 민주당 몫으로 확보하겠다고도 했다. 박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입법부가 마땅한 성과를 못 내고 국민들에게 정치 효능감을 주지 못했다면 성과를 내고 책임을 지는 쪽으로 국회를 운영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법사위와 운영위를 반드시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정견 발표에서는 “머뭇거리다 실기하는 과거의 민주당과 결별하겠다”며 “첫째도 개혁, 둘째도 개혁이라는 각오로 임하겠다”고 했다. 당 안팎에선 17개 상임위를 독식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박 의원의 원내대표 선출로 민주당의 ‘친명 일극 체제’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재명 대표도 이날 ‘친명 단일대오’를 강조했다. 이 대표는 당선인 총회 첫머리 발언에서 “당론으로 어렵게 정한 어떤 법안들도 개인적인 이유로 반대해서 추진이 멈춰버리는 사례를 몇 차례 봤다”며 “그건 정말로 옳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소한 모두가 합의하고 동의한 목표에 대해서는 자신의 신념과 가치의 양심상 반하는 것이 아니라면 따라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