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부터 스타작가까지, 다른 옷 입고 태어나는 SF소설 전성시대

, 넷플릭스 공개 후 베스트셀러
천선란 은 연극, 뮤지컬 동시 제작
비주류 장르로 여겨져 온 공상과학(SF) 소설이 영화와 드라마, 공연 등으로 재탄생하면서 원작의 인기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25일 출판계에 따르면 중국 작가 류츠신의 SF소설 <삼체>가 이번달 넷째주 예스24 소설·시·희곡 분야 베스트셀러 2위를 차지했다. 국내에선 2013년 출간돼 10년도 넘은 이 소설이 베스트셀러 목록에 이름을 올린 건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드라마가 인기를 얻은 덕분이다. 지난달 21일 공개된 넷플릭스 8부작 드라마 '삼체'는 공개 이후 글로벌 톱10 TV쇼 부문에서 3주 연속 1위를 기록하는 등 화제를 모았다. 인기 미국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제작진이 소설을 드라마화했다.
컴퓨터 엔지니어 출신인 작가 류츠신이 쓴 이 소설은 외계 문명이 지구를 공격해오는 이야기를 그렸다. 문화혁명을 비롯해 중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이 나온다.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이 휴가 때 읽는 소설로 언급되고, SF계 노벨문학상으로 불리는 휴고상을 받는 등 전세계적으로 흥행했지만 과거 국내에선 별 인기를 끌지 못했다.

SF소설의 고전으로 꼽히는 프랭크 허버트의 소설 <듄>도 지난 2월 말 영화 '듄: 파트2'의 개봉으로 판매량이 크게 올랐다. 2001년 국내 출간된 이 소설은 영화가 개봉하기 전까진 초판 2000부를 찍은 것도 다 팔리지 않을 정도로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영화 개봉 직후 예스24 소설·시·희곡 분야 베스트셀러 3위, 종합 33위에 올랐다.
서사가 탄탄하고 작품성 있는 SF 소설은 영상 콘텐츠로 만들기 좋은 소재다. 소설의 상상력에 자본과 특수 효과 등이 버무려진 영상이 만나면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어서다. 원작도 영상이 흥행하면서 판매량이 올라가는 등 '윈윈' 구조다. 내년 1월 개봉을 앞둔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17'도 에드워드 애슈턴의 SF 소설 <미키7>을 원작으로 만든 작품이다. 일본 작가 이사카 코타로의 동명 SF 소설을 원작으로 한 ‘종말의 바보’도 넷플릭스 공개를 앞두고 있다.

국내 작가의 작품도 공연화되며 인기다. 국내 인기 SF 작가 천선란의 소설 <천 개의 파랑>은 같은 작품이 연극과 뮤지컬로 동시에 제작돼 화제다. 이 작품은 로봇 기수 콜리가 장애를 가진 청소년 은혜·로봇공학에 능한 동생 연재 자매와 힘을 합쳐 안락사 위기의 경주마를 구해내는 여정을 그렸다. 국립극단이 오는 28일까지 서울 홍대 대학로 아트센터에서 연극으로 올린다. 다음달 12~26일엔 서울예술단이 창작 뮤지컬로 만들어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다.
천선란 작가는 SF소설과 이를 활용해 만든 2차 콘텐츠가 인기를 얻는 이유에 대해 "SF는 오래전부터 인간, 사회에 대한 거대 담론을 다뤄 왔다"며 "SF를 통해 사회가 무엇인지 답을 찾고, 인간은 원래 고독하다는 점을 알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고 밝힌 바 있다.영상화·공연화 시도와 더불어 <저주토끼>의 정보라 작가를 비롯해 정세랑, 김초엽 등 국내 젊은 SF 작가의 활약으로 SF소설이 큰 규모의 팬덤을 갖춘 주류 장르로 거듭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