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마저 직장인 점심값 1만원 '훌쩍'…"밥 사먹기 겁나요"

뉴스 카페

일반식당 평균 식권값 1만96원
'런치플레이션' 전국으로 확산
구내식당마저 4년새 2배 '껑충'
전국 직장인이 쓰는 점심값의 평균이 1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에서 시작된 점심값 상승세가 전국으로 확산하는 양상도 감지됐다.

24일 푸드테크 기업 식신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모바일 식권을 활용한 전국 일반식당 점심 평균 결제금액은 1만96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1만원을 넘었다. 식신의 ‘식신e식권’은 기업들이 직원 식비를 지급하기 위해 활용하는 모바일 식권 서비스다. 직장인들이 이 플랫폼에 충전된 식권을 가지고 인근 식당에서 한 끼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하루 이용자는 23만 명, 연간 거래액은 2500억원에 달한다.최근 2년 새 점심값은 가파르게 상승했다. 2020년 1분기 평균 7529원이던 점심값은 2022년 8537원으로 올랐고 이번엔 1만원을 넘어섰다. 점심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서울(1만798원), 가장 싼 지역은 강원(9355원)이었다.

상승률은 서울 이외 지역이 더 높았다. 충청 지역이 전년 동기 대비 13.7% 올랐고, 이어 강원 11.7%, 경기 9.6%, 경상 지역 6.7% 순이었다. 식신 관계자는 “지난해 서울에서 먼저 ‘런치플레이션’ 현상이 일어났고 나머지 지역도 최근 따라 오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1분기 서울 지역 식대 상승률은 0.3%였다.

외부 식당 대비 가격이 저렴한 구내식당도 런치플레이션의 여파를 피해 가지 못했다. 전국 구내식당의 1회 평균 결제금액은 8560원으로 2020년(4832원), 2022년(5571원)보다 크게 올랐다. 서울 동자동에 있는 회사에서 근무하는 이진영 씨는 “근처 빌딩 지하 구내식당을 자주 이용하는데 이마저도 1월부터 가격이 올랐다”며 “도시락을 싸갖고 다녀야 할지 고민”이라고 했다.최근 신한은행이 발간한 ‘보통 사람 보고서’에 따르면 직장인 중 68.6%는 점심 비용을 줄이기 위해 애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의 경우 구내식당, 편의점을 이용하거나 아예 굶는 사례가 많았고, 여성은 커피를 줄이고 음식점 상품권이나 기프티콘을 이용하는 사례가 흔했다. 남녀 공통으로 꼽은 점심값 절약법은 ‘도시락 준비’였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