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 1채가 서대문구 3.5채 값

우리銀, 올해 75곳 분양가 분석
공사비·고금리·단지 차별화 영향
올해 서울 분양 아파트의 3.3㎡당 분양가 차이가 최대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으로 범위를 확대하면 분양된 아파트 단지 간 분양가 격차는 최대 15배에 달했다. 인건비와 건자재 등 공사비 급등과 고금리 지속, 단지 고급화 등의 영향으로 지역별 분양가 차이가 더 벌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가 올해 들어 공급된 전국 75개 단지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 공급가가 가장 높은 곳은 서울 광진구 광장동 ‘포제스한강’이었다. 이 단지는 지난 1월 3.3㎡당 1억3770만원에 공급돼 초고가 단지로 화제를 모았다. 전국에서 분양가가 가장 낮은 단지는 지난 19~23일 청약을 실시한 전남 장흥군 대덕읍 ‘대덕읍더포레스트에코파크’였다. 3.3㎡당 분양가는 921만원으로 두 단지의 분양가 격차는 15배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분양가 양극화가 전국에서 가장 컸다. 지난 2월 청약에 나선 서대문구 영천동 ‘경희궁유보라’는 3.3㎡당 3932만원에 공급돼 포제스한강(1억3770만원)과는 9838만원 차이가 났다. 포제스한강 한 채를 구입할 수 있는 돈으로 경희궁유보라 3.5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경기에서는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판교 TH212’ 분양가(3.3㎡당 3392만원)가 가장 높았다. 분양가격이 가장 낮은 곳은 평택시 현덕면 ‘평택푸르지오센터파인’(3.3㎡당 1415만원)이었다. 두 사업지 간 분양가 차이는 3.3㎡당 1977만원이다. 부산(2088만원) 울산(1264만원) 인천(1042만원) 등에서 단지 간 3.3㎡당 공급가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지역 간 아파트 분양가 격차는 입지 선호도와 맞물린 현상”이라며 “예비 청약자는 내 집 마련 때 분양 단지 규모와 분양가 등을 따지는 건 물론 기존 아파트 매입, 경매, 분양권 거래 등으로 선택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