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한국 부동산 111조 PF대출 부실 우려"

"韓 그림자 금융 약한 고리, 부동산 균열"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부동산 시장에 붕괴 조짐이 나타나면서 경제 전반과 금융 시장에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부동산 대출 부실 등의 여파로 한국이 그림자 금융(비은행 금융) 분야에서 면밀히 주시해야 할 약한 고리로 떠오르고 있다"고 23일 보도했다. 1990년대 일본의 부동산 가격 급락으로 대출이 부실화되고 경제를 악화시킨 사례도 언급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 각국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한국 그림자 금융 부문의 국내외 부동산 대출·보증에서 균열이 나타나는 탓에 티로웨프라이스와 노무라증권 등 일부 금융기관이 우려를 표하고 있다. 그림자 금융이란 증권사와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을 통한 PF 형태를 말한다. 은행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은 직접적인 대출은 하지 않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비은행권이 보유한 부동산 그림자 금융 규모는 926조원으로, 전년(886조원)보다 4.5% 늘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10년 전보다는 4.2배 증가한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6.55%로 전년 대비 3.14%포인트 올라 2011년 저축은행 사태(5.8%포인트) 이후 12년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올해 1분기 연체율도 작년 말보다 상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원회 자료를 보면 2020년 말 3.37%였던 증권사 PF 관련 대출의 연체율이 지난해 3분기 말 13.85%, 4분기 말 13.73%로 올라온 상태다. 씨티그룹 이코노미스트들은 "문제가 많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채 규모가 111조원에 이른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저금리와 부동산 가격 상승 시기에 PF 대출이 늘어났고, 증권사들은 PF 대출을 증권화해서 투자자들에게 판매해왔다. 19개월 전 레고랜드 사태를 통해 신용시장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온 바 있으며, 당국이 위기 전염을 막기 위해 대출 보증 확대 등의 조치를 했지만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돌입하는 등 우려가 여전한 상황이다. 티로웨프라이스의 쿠엔틴 피츠시몬스 글로벌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한국의 현 상황에 대해 "어디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축소판이라 우려된다"고 말했다.당국의 신속한 정책 대응을 통해서도 한국의 우려 수준이 높다고 추정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부실로 건전성 위기가 고조된 저축은행을 상대로 최근 현장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노무라증권 박정우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정부가 (부동산 부문)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태영건설 워크아웃이 끝이 아니며, PF 부채 스트레스의 시작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블룸버그는 전례 없는 부동산 경기 둔화 속에 1300억 달러(약 179조원) 이상의 회사채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진 중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신용 위험이 경제 전반에 타격을 가하지는 않은 상태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사모펀드 운용사 KKR은 한국 이노벨류에 4000만달러를 대출하는 등 자금을 중국 대신 한국 등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돌리고 있다.

다만 한국 부동산 문제에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씨티그룹 김진욱 이코노미스트는 PF 부채 구조조정으로 인해 하반기 경제 성장률이 0.2%로 둔화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장은 "한국 당국이 위험을 관리하고 있지만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면서 "일부 소형 기관이 위험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블룸버그는 한국 비은행 금융기관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상업용 부동산에 대규모로 투자해왔으며, 코로나19 이후 상업용 부동산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어왔다는 사실도 지적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