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이어 조정식도…선명성 경쟁하는 野 국회의장 후보들

趙 "입법 과제 달성에 역할할 것"
秋는 "국회의장은 중립 아니다"
편파적 강성 국회의장 탄생 우려
차기 국회의장 자리를 둘러싼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의 선명성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국회의장이 여야 간 중재와 타협을 주도하는 관례를 깨고 특정 정당을 대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조정식 민주당 의원은 21일 간담회에서 “(22대 국회가) 개혁 국회로 성과를 내고 민주당이 주도하는 입법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그에 걸맞은 필요한 역할에 나서겠다”며 국회의장 출마 의사를 밝혔다.조 의원은 “21대 국회를 회고하면 민주당이 180석으로 무엇을 했냐는 당원과 지지자들의 질타가 있었는데, 22대 국회에선 그렇지 않도록 하겠다”며 사실상 민주당의 입법 추진에 힘을 싣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해찬계로 분류되는 조 총장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함께 현재 최다선(6선)이다. 국회의장은 관례상 원내 1당의 최다선 의원이 맡기 때문에 추 전 장관과 함께 유력 후보로 거론된다. 국가 의전 서열 2위인 국회의장은 민주당이 경선이나 추대를 통해 최종 후보를 결정하면 여야가 본회의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출한다.

정치권에선 “추 전 장관에 힘을 실은 개딸에 대응하기 위해 조 총장이 선명성 경쟁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추 전 장관은 지난 11일 SBS 라디오에서 “국회의장이 중립은 아니다”라면서 대여(對與) 공세를 예고하며 국회의장 출마 의사를 드러냈다. 이에 이 대표 열성 지지자 모임 ‘잼잼 자원봉사단’은 추 전 장관 추대 서명운동을 벌이며 화답하고 있다.한 민주당 관계자는 “조 총장이 합리성과 안정성 면에선 추 전 장관보다 믿음직한 면이 있다”면서도 “그것만으로 당원과 개딸들의 마음을 얻기 어렵다는 판단이 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도 지난 19일 유튜브 방송으로 생중계된 ‘당원과의 만남’에서 “(21대 국회에선) 민주당에서 배출된 의장인데 민주당 편을 안 들어서 불만이 사실 많았다”며 사실상 민주당 편 국회의장의 필요성을 시사한 바 있다.

한 민주당 중진 의원은 “국회의장이 법적으로 무소속인 이유는 국회가 정쟁에 휩싸이지 않도록 여야 간 협의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취지 때문”이라며 “국회 전반기부터 여야 간 갈등으로 민생 입법이 탄력을 잃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