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오찬 초청 거절한 한동훈…"배신 말아야 할 건 국민뿐"

韓 "건강상 이유로 정중히 사양"
尹과 선 긋고 독자 행보 본격화
홍준표 '배신자' 비판에 반격도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사진)을 대통령실로 초청했지만, 한 전 위원장이 건강상 이유로 사양한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한 위원장은 지난 20일 “정치인이 배신하지 않아야 할 대상은 국민뿐”이라는 페이스북 글을 남겼다. 총선 이후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며 독자적인 정치 행보에 나선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한 전 위원장은 21일 ‘윤 대통령의 초청에 응할 뜻이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지금은 건강상 이유로 참석하기 어렵다고 정중히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한 전 위원장은 19일 이관섭 비서실장으로부터 22일 오찬이 가능한지 묻는 연락을 받았고, 이 실장을 통해 사양의 뜻을 전했다고 덧붙였다.앞서 윤재옥 원내대표는 “대통령실로부터 한동훈 비대위와의 오찬을 제안받은 바 있으나 일정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정희용 수석대변인을 통해 전했다.

한 전 위원장이 윤 대통령의 초청을 거절한 건 여권에서 불거진 책임론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16일 윤 대통령과 만찬을 한 이후로 연일 ‘한동훈 책임론’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홍 시장은 한 전 위원장을 ‘윤석열 대통령도 배신한 사람’이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한 전 위원장은 이에 20일 비대위원장 사퇴 9일 만에 침묵을 깨고 페이스북에 입장을 올렸다. 한 전 위원장은 “정치인이 배신하지 않아야 할 대상은 여러분, 국민뿐”이라며 “저는 무슨 일이 있어도 여러분을, 국민을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썼다. 이어 “사심 없고 신중하기만 하다면 잘못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은 배신이 아니라 용기”라며 “누가 저에 대해 그렇게 해 준다면 잠깐은 유쾌하지 않더라도 결국 고맙게 생각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윤 대통령을 향한 메시지로 해석됐다.한 전 위원장은 “정교하고 박력 있는 리더십이 국민의 이해와 지지를 만날 때 난관을 헤쳐 나갈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며 “정교해지기 위해 시간을 가지고 공부하고 성찰하겠다”고도 밝혔다. 당장은 아니지만, 정치 무대에 복귀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설지연 기자 sj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