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1위까지 출혈경쟁…삼성운용, 인기 ETF 수수료 싹 낮췄다

자산운용사 간 상장지수펀드(ETF) 운용 보수 인하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업계 1위 삼성자산운용까지 ‘업계 최저 보수’를 마케팅 전략으로 꺼내 들면서 자산운용업계 전반의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삼성자산운용은 미국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 4종에 대한 총보수를 연 0.05%에서 0.0099%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연 0.0099%는 국내 최저 수준이다. 1억원을 넣을 경우 투자자가 부담하는 비용이 1만원이 채 안 되는 셈이다.적용 대상은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 'KODEX 미국S&P500(H)', 'KODEX 미국나스닥100(H)' 등이다. S&P500과 나스닥100지수는 기관은 물론 개인 투자자들 모두 선호하는 자산군이다. 2021년 4월 출시된 KODEX 미국S&P500TR의 순자산은 3년여 만에 1조원(1조4억원)을 돌파했다.

국내 ETF 시장이 137조 이상으로 커지면서 자산운용사들은 제살깎기식 치킨게임을 벌이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달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총보수를 0.29%에서 0.08%로 인하했다. 삼성자산운용이 비슷한 상품을 0.09%로 내놓자 맞불을 놓은 것이다. 국내 ETF 시장을 양분하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치열한 선두 다툼을 벌이고 있다. 2020년 말까지만 해도 삼성자산운용의 점유율이 50%를 웃돌았지만, 현재 2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과의 점유율 차이는 2% 안팎에 불과하다.

후발 주자들도 울며 겨자 먹기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ETF가 공모펀드를 대신할 '미래 먹거리'가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어서다. 실제 중소형 자산운용사들은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미국30년국채선물레버리지(합성H)’ 총보수는 0.25%다. 전 세계 미국채 30년 레버리지 ETF 상품 중 가장 낮다.소기의 성과도 있었다. 올해 들어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KB자산운용의 점유율은 줄어든 반면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점유율은 1월 2일 4.88%에서 6.01%로 올라섰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점유율 7위에 불과했던 신한자산운용은 한화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을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시장 점유율은 2.69% 수준이다.

자산운용사의 외형은 커졌지만, 내실은 악화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468개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1482조6000억원)은 전년 대비 6.1% 늘었지만, 당기순이익(1조6023억원)은 43.8% 줄었다. 이 기간 수수료 수익은 3조9188억원으로 2011년, 2022년에 비해 각각 12%, 2.3% 감소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무조건 보수를 낮추면 상품과 서비스의 질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중장기적으로 시장과 업계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