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묵은 글이 곧 그림”…반 세기 바친 ‘붓의 길 먹의 마음’

JCC아트센터 문봉선 작가 ‘붓의 길 먹의 마음’ 전시
‘젊은 명창은 있어도, 젊은 명필은 없다.’ 이 화두를 깨닫기까지 40년이 걸렸다. 시간과 노력 속에서 글씨(書)가 예술(藝)이 되는 길을 찾을 수 있다는 뜻이었다. “먹에 세월이 담기고, 각고의 노력이 스며들어 나만의 감각을 찾아낼 때 서예의 경지에 오르는 것”이라고 말하는 문봉선(63)은 서성(書聖) 왕희지를 임모(臨摹·원작을 본뜸)하면서도 자신만의 심상 언어로 재구축한 필묵을 찾았다고 한다.

서울 혜화동 JCC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붓의 길 먹의 마음’은 무여(無如) 문봉선이 50여년간 닦은 서예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자리다. 1~4층에 이르는 전시 공간을 모두 서예 작품들로 채웠는데, 층마다 주제가 다른 점이 흥미롭다. 1층이 고금을 통틀어 최고 서예가로 꼽히는 1700년 전 왕희지의 필법을 체득한 공간이라면, 점차 계단을 올라 ‘법고창신(法古創新)’이란 주제의 4층에 닿으면 옛것을 넘어 문봉선만의 독창성이 돋보이는 작품이 나온다.
맹호연의 '춘효'를 문봉선의 초서체로 쓴 작품. '밤 야'자 위에 달이 뜬 것처럼 의도했다.
홍익대 동양화과를 나와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을 받은 문봉선은 화단에 수묵화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화업의 본질은 언제나 ‘서화’에 있다. 그림의 정신적 바탕에 글씨가 있다고 확신하는 ‘서화동원’(書畵同源) 철학에서다. 불혹에 접어들고 나서부턴 직접 중국 남경을 찾아 5년간 초서 연구에 매달리는 등 서예에 더욱 매진해왔다. 그는 “글을 쓸 줄 알아야 수묵화도 그리는 것”이라며 “둘 중 하나도 해내기 쉽지 않지만, 마음이 통하면 길은 열리기 마련”이라고 했다.

서화가답게 서예에 수묵화가 스며있는 작품들이 인상적이다. 중국 당나라 시인 맹호연의 ‘춘효’(春曉) 를 쓴 작품의 경우 ‘夜來風雨聲’(밤사이 비바람 소리 들리더니) 구절에서 밤을 뜻하는 ‘야’(夜) 의 첫 획을 초승달처럼 그려 넣었다. 소동파와 교류한 화가 문동이 지은 ‘문여가화운당곡언죽기’(文與可畵篔簹谷偃竹記)에는 직접 글 사이사이 대나무를 그려 넣었다. 문봉선은 “마음속으로 대나무의 모양을 떠올리고, 그 심상을 높은 집중력으로 단숨에 그려내야 한다는 내용을 고스란히 표현한 것”이라고 했다. 전시는 4월 7일까지.
문봉선이 '소나무 송'(松) 한자를 소나무처럼 그려낸 작품.
유승목 기자 mo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