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대생 10명중 7명 휴학 신청…총 1만4000명

교육부 "동맹휴학 허가해서는 안된다"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방침에 반발해 휴학을 신청한 의대생이 1만4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전날 오후 6시 기준 3개교에서 의대생 227명이 휴학을 신청했다.열흘간 총 1만3698명이 휴학을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휴학 신청자 대부분은 정부 정책에 반발해 동맹휴학을 위해 신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자별로 보면 19일 1133명, 20일 7620명, 21일 325명, 22일 49명, 주말인 23~25일 847명, 26일 515명, 27일 282명이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의대 재학생(1만8천793명)의 72.9%가 휴학계를 낸 셈이다. 다만 이 중에는 휴학계를 철회했다 다시 제출해 중복 인원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휴학 철회 건수는 전날 2개교에서 2명으로 집계됐다.

휴학을 신청한 의대생 중 두 개교에서 2명만 휴학이 허가됐다. 교육부는 이들은 모두 유급·미수료, 입대, 건강 등 정당한 사유와 절차를 밟아 허가된 휴학이라고 설명하며 동맹휴학에 대한 허가는 1건도 없었다고 전했다.현재까지 신청된 휴학 가운데 철회나 반려되지 않고, 절차를 지켜 제출된 건수는 총 5056건으로, 전체 의대 재학생 대비 26.9% 수준이다.

교육부는 현재 형식 요건을 갖췄더라도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아니어서 허가해서는 안 된다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형식 요건을 갖추지 못한 휴학 신청에 대해선 신속하게 철회를 독려하거나 반려해달라고 각 대학에 요청한 상태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각 대학에 적극적인 설득과 소통을 당부하는 한편, 학생들의 수업 거부가 지속되는 경우 학칙에 따라 엄정히 학사를 관리해달라고 강조했다. 전날 수업 거부가 확인된 곳은 6개교다.의대생들의 단체행동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집단 유급'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수 대학이 2월이었던 본과생들의 개강을 3월로 연기했다.

현재 대부분의 의대가 수업일수의 3분의 1 또는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F 학점을 준다. 한 과목이라도 F 학점을 받으면 유급 처리된다.

정부는 계속된 의대생들의 단체 행동에도 의대 증원 규모 2000명에 대한 배정 작업을 계획대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의대 증원 수요조사는 당초대로 3월 4일까지 제출받을 계획"이라며 "의학 교육 질 하락 우려에 대응해 거점 국립대 의대 교수를 2027년까지 1000명 늘리고 필요한 경우 현장 수요를 고려해 추가로 보강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