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인플레 대비해야"…日은행에 금리 인상 채비 촉구한 IMF

피에르 올리비에 고린차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완화 기조 적절하나 금리 인상 준비 나서야"
국제통화기금(IMF)이 일본은행에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경우에 대비한 금리 인상 채비를 서두르라고 촉구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피에르 올리비에 고린차스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사진)는 30일(현지시간) ‘1월 세계경제전망’ 발표에 앞서 연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일본은행의 완화적 정책 기조는 현재로서는 적절하다”면서도 “예상치 못하게 물가 상승률이 치솟아 중앙은행의 목표치를 큰 폭으로 웃돌게 될 경우에 대비해 금리 인상을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린차스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7월 일본은행에 수익률곡선통제(YCC) 정책을 철회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YCC는 국채를 필요한 만큼 무제한 매입해 장기 금리 지표로 여겨지는 10년물 국채 금리를 연 0.5% 수준에서 통제하는 조치다. 일본은행이 고수해 온 초완화적 통화 정책의 한 축으로 여겨진다.

고린차스 이코노미스트의 발언이 있은 후 며칠 뒤 일본은행은 국채 매입 기준선을 종전 0.5%에서 1%로 올리며 금융 완화 정책의 수정을 예고했다. 엔화 가치 하락과 물가 상승을 의식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를 계기로 월가에선 일본은행의 통화 정책 결정과 관련해 IMF의 입장을 주시하는 감시자(watcher)들이 많아졌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올해 첫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물가 목표(2%)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면 마이너스 금리를 포함해 현재 실시 중인 다양한 대규모 금융 완화를 계속할지 검토할 것”이라며 정책 수정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그는 특히 물가 목표 달성 여부와 관련해 “실현 가능성이 조금씩 커지고 있다”며 금리 인상의 길을 열어놨다.일본의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전년 대비 3.1% 오르며 41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식품 물가가 1975년 이후 4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영향이 컸다. 다만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3% 움직이는 데 그쳤다. 월 기준 2022년 6월(2.2%) 이후 18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었다.

블룸버그는 “당분간 일본에서 인플레이션이 급격히 상승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짚었다. 당장 이달 소비자물가지수도 2%를 밑돌 거란 전망이다. 에너지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던 작년 초 일본 정부가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한 데 대한 기저효과가 작용할 거란 이유다. 일본은행도 최근 2024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시장 전망치는 2.2%다.

시장에선 춘투(봄철 임금 협상)가 마무리되는 4월께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해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1월 금융정책결정회의 직전까지 약 60%의 경제학자들이 이같이 전망했다. 회의 이후 일부 학자들은 금리 정책 변경 시점을 3월로 앞당기기도 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