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양산 가짜뉴스, 올 최대 리스크"

15~19일 다보스포럼
세계경제포럼(WEF)이 올해 세계 경제 최대 리스크로 선거 기간 인공지능(AI)에 의해 양산되는 가짜뉴스를 꼽았다. WEF는 오는 15~19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다보스포럼을 주최하는 기관이다.

CNBC 방송에 따르면 WEF는 10일(현지시간) 공개한 ‘국제 위험 보고서 2024’에서 이같이 진단하며, 각국 정상들이 “허위 정보 관련 위험에 대비한 가드레일을 구축해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WEF는 작년 9월 1400명 넘는 위험 전문가와 정책 입안자, 업계 리더 등을 대상으로 스위스 취리히보험그룹과 함께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이 보고서를 작성했다.WEF는 주요국의 선거 기간 AI로 인해 확산할 가능성이 있는 허위 정보가 사회 양극화를 심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디아 자히디 WEF 매니징디렉터는 “양극화, 기후 변화 및 경제 관련 불확실성이 가져오는 악영향 등으로 특징 지어지는 불안정한 세계 질서가 가짜뉴스 확산 위험을 더욱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선거의 해’로 불리는 올해 전 세계 성인 인구의 절반가량이 투표소로 향한다. 대만 미국 인도 러시아 등 경제 규모가 비교적 큰 나라가 줄줄이 선거를 치를 예정이다.

글로벌 정치판에 드리운 ‘AI 리스크’는 향후 10년 동안 대세적 흐름이 될 전망이다. 보험사 마쉬맥레넌의 캐롤라이나 클린트 유럽 지역 담당 최고사업책임자(CCO)는 “AI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방식으로 많은 유권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며 “이런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WEF는 △극심한 기상 이변 △사회적 양극화 △사이버 안보 불안 △국경 간 무력 분쟁 △경제적 기회 부족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등이 앞으로 2년간 단기적으로 세계 경제를 압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핫이슈